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발행제도를 개선한 이후 발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공모 CB.BW 등의 전환금지기간을 3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한 제도개선 이후 발행실적이 67.5% 감소했다. 제도개선전인 2001년부터 2002년 3월까지 CB와 BW의 월평균 발행실적은 7천958억원(31건)이었으나 제도개선 이후인 2002년 4월부터 지난달까지 월평균 발행실적은2천584억원(12.2건)에 그쳤다. 해외발행은 제도개선전 월평균 1천476억원(10건)에서 개선후 184억원(3.4건)으로 무려 87.5% 감소했으며 국내 공모는 4천309억원(1.9건)에서 150억원(1.2건)으로96.5% 급감했다. 다만 국내 사모는 월평균 2천173억원(19.1건)에서 개선후 2천250억원(7.6건)으로 오히려 3.5% 늘었다. 금감원은 해외발행의 감소원인은 주식시장의 장기침체와 발행조건에 관한 규제의 강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내국인의 1년간 취득제한이라는 해외공모 인정요건의 강화에따라 해외증권의 환금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리픽싱 제한 등에 따라 전반적으로 투자위험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해외CB.BW 발행은 감소했으나 국내의 사모발행은 제도개선후 3.5% 증가한 것은 변칙적인 방법의 해외증권 발행이 제도개선으로 불가능해짐에 따라 이러한 발행수요가 국내에서 정상적인 사모방식의 발행으로 전환된 것으로 풀이됐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기자 justdu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