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직 공무원 신설 검토"..김태유 청와대 정보과학기술 보좌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태유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은 요즘 국내외 우수 과학기술인력의 공직 채용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느라 고심하고 있다.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과학기술 개발의 지름길은 유능한 이공계 전문인력을 공무원으로 최대한 끌어들이는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
지난 21일 노무현 대통령이 과학의 날 기념식에서 이같은 정부방침을 내놓게 하는 데도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는 후문이다.
"이공계 분야의 보다 많은 박사급 전문가들이 정부와 주요 공공부문에서 일할 수 있어야 하지만 자칫 '정실인사'시비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그렇다고 채용을 엄격하게 하면 유능한 인력을 제때 확보하기가 어려워집니다."
그는 기존의 이공계 고급 인력 채용창구로서의 기술고시에는 부정적 입장이다.
기술고시 역시 암기과목으로 돼 있어 창의적이고 특정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우수 인력 확보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김 보좌관은 이미 지난 2001년 10월 '정부 내 과학기술인력의 효율적인 확보 육성방안'이라는 연구보고서를 중앙인사위원회에 제출했었다.
이 보고서에서 △공무원 경력관리의 이중 구조화 △연구개발직 공무원 신설 △기술직 위주로 복수직렬제 확대 개선 △과학기술 분야 공무원 직렬 신설 및 직렬 내 교류확대 방안을 제안했다.
보좌관에 임명된 직후 노 대통령에게 어떤 정책을 조언해 나갈지를 묻자 "당장 시급하지는 않지만 국가적으로 중요한 일을 하려고 한다.
그러면 (언젠가 불시에 닥칠) 시급하고 중요한 현안을 제때 제대로 처리할 수 있다"고 답했다.
기초과학기술처럼 평소에 연구개발투자를 잘 해놓으면 필요한 시점에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얘기다.
"당장 시급하지는 않되 중요한 국가적 사안이 어떤 것이냐"는 질문에는 "기회되는 대로 대통령에 보고할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그의 업무를 위해 과학기술부 정보통신부 등의 공무원과 관련 연구소 연구원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다.
김 보좌관은 최근 열린 한국경제신문의 '스트롱 코리아'운영위원회에 참석,"보좌관은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역할을 해야 하므로 말을 아끼겠다"고 털어놨다.
그는 "21세기 지식기반이 과학기술에 있다"며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결정 시스템을 개편하기 위해 태스크포스 3개팀를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장 과학기술정책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며 "태스크포스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차근차근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축을 위한 작업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보좌관은 '국정의 중심을 과학기술에 두겠다'는 노 대통령의 의지는 변함없다고 거듭 힘줘 말했다.
오춘호·허원순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