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고위급 군인과 핵 과학자 20여명이 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나우루의 도움을 받아 미국 등에 망명했다고 호주 언론이 19일 보도했다. 호주의 지역 주간지 '위크엔드 오스트레일리언'은 이들 북한 고위 관계자의 망명은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됐으며, 이에 앞서 미국 등 11개국이 이들을 중국으로부터 안전한 피신처로 빼돌리는데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망명자 중에는 북한 핵개발의 대부로 알려진 경원하 박사도 포함돼 있다고 이 주간지는 전했다. 경 박사는 미국 정보관리들에게 최근 국제적 우려를 불러 일으킨 영변 원자로 등 북한의 핵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보도는 무기급 플루토늄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폐연료봉 재처리 작업을 시작했다는 북한측 주장으로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족제비 작전'으로 명명된 이번 망명은 발리 폭탄테러가 발생한 다음날 시작됐으며 미국계 변호사가 '워싱턴과 베이징에 나우루 대사관 설립자금을 제공하겠다'며 르네 해리스 나우루 전 대통령에게 접근하면서 시작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접근 목적은 특정 난민들에 대해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였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나우루의 전 재무장관인 킨자 클로두마는 지난해 10월 나우루 대표단 일원으로 워싱턴에 머무르는 동안 이같은 망명작전에 대해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북한의 핵 과학자와 그의 가족을 중국의 한 농장에서 나우루 영사관 승용차를 통해 대사관으로 데려왔다"고 말했다. 이 망명작전에는 미국과 나우루를 포함해 뉴질랜드 태국 필리핀 스페인 등이 참여했으나 호주는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저명한 핵 과학자를 포함해 북한의 고위급 인사 20여명이 집단으로 망명했다는 외신 보도와 관련, 사실 여부를 확인중이라고 20일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외신 보도를 접하고 미국과 중국 호주 파푸아뉴기니 등 현지 공관에 망명 여부를 확인하도록 연락했다"며 "유관 기관에도 협조를 요청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권순철 기자 ik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