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고위급 군인과 핵 과학자 20명 가량이 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나우루의 도움을 받아 미국 등에 망명했다고 호주 언론이 19일 보도했다. 호주의 지역 주간지 `위크엔드 오스트레일리언'은 이들 북한 고위 관계자들의망명은 지난 해 10월부터 시작됐으며, 이에 앞서 미국 등 11개국이 이들을 중국으로부터 안전한 피신처로 빼돌리는 데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망명자 중에는 북한 핵개발의 대부로 알려진 경원하 박사도 포함돼 있다고이 주간지는 전했다. 경원하 박사는 미국 정보관리들에게 최근 국제적 우려를 불러일으킨 영변 원자로 등 북한의 핵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보도는 무기급 플루토늄 생산에 사용될 수 있는 폐연료봉 재처리 작업을시작했다는 북한측 주장으로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가운데 북핵 해결을 위한 외교적노력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되는 와중에 나온 것이다. `족제비 작전'으로 명명된 이번 망명은 발리 폭탄테러가 발생한 다음날 시작됐으며 미국계 변호사가 `워싱턴과 베이징에 나우루 대사관 설립 자금을 제공하겠다'면서 나우루의 전 대통령 르네 해리스에게 접근하면서 시작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접근 목적은 특정 난민들에 대해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서였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나우루의 전 재무장관인 킨자 클로두마는 지난 해 10월 나우루 대표단 일원으로서 워싱턴에 머무는 동안 이같은 망명작전에 대해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북한의 핵과학자와 그의 가족을 중국의 한 농장에서 나우루 영사관 승용차를 통해 대사관으로 데려왔다"고 말했다. 이 망명작전에는 미국과 나우루를 포함해 뉴질랜드, 태국, 필리핀, 스페인 등이참여했으나 호주는 참가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드니 AFP=연합뉴스) jongw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