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3자회담 과정에서 대북 경제적 지원 요청이 있더라도 우리가 당사자로서 참여하기 이전에는 수용할수 없다는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또 북한이 요청한 식량 지원 역시 남북대화가 재개돼야 본격적인 검토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나 파종기 비료 지원은 인도적 차원에서 분리 대응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전날 청남대에서 가진 여야 대표들과의 만찬회동에서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북.미.중 3자회담을 거론, "우리의 대북 경제지원은 다자회담에 우리가 당사자로서 참여할 때 가능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고 민주당 정대철(鄭大哲) 대표가 전했다. 정 대표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고위당직자회의에서 "3자회담은 다자간회담을 위한 단초이자 하나의 과정이며 앞으로 우리가 합류해 북핵 문제를 해결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영관(尹永寬) 외교장관도 지난 16일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과 전화협의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문제는 한국이 참여한 뒤 시작될 것임을 약속했다"면서 "우리 정부의 입장은 한국이 참여하지 않는 장소에서 논의된 사항에서 초래된 부담을 지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지난 13일에도 MBC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 출연, "북한에 대한 경제지원을 해줄 수 있는 나라들을 논의과정에서 빼버리고 나중에 도와줄 때만 들어와서 도와달라고 요구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날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일 3자회의에 한국측 대표로 참석하는 이수혁(李秀赫) 차관보를 통해 "본질적 회담은 한국이 참여한 이후에야 가능하다"는 입장을 미국측에 전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