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3일 베이징(北京)에서 열릴 북-미-중 3자회담에서는 북한의 검증가능한 핵개발 계획 폐기 및 한.일 양국의 다자회담 참여문제가 집중 협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에서 미국은 북한의 핵개발 포기를 강력히 요구하고 이를 수용할 경우체제보장이나 경제지원 등 과감한 대북 접근법을 취하겠다는 뜻을 밝힐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7일 "3자회담의 주의제는 북핵문제가 될 것이고, 이번회담은 이를 어떻게 다룰지 예비적 준비를 하는 것"이라면서 "3자회담 전망에 대해낙관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핵문제에 대한 최종 합의가 이뤄지기 전에 (한국이) 꼭 참여할것"이라고 말했다. 회담에 앞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중요한 것은 북핵문제의 해결"이라면서"모양새나 체면을 생각하기 보다 결과가 좋아야 한다"고 실질적 성과를 강조했다. 특히 노 대통령은 "정부의 체면을 위해 대화의 핵심을 흐리게 하는 것은 처음논리에도 맞지 않는다"면서 "새삼스럽게 우리가 끼어들면 (회담의) 성격을 그르칠수도 있고 겨우 차려놓은 판을 깰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외교부 석동연(石東演) 대변인은 3자회담에 대한 성명을 통해 "북한 핵문제의평화적 해결을 향한 중요한 일보가 될 것으로 생각하며 환영한다"면서 "정부는 우리의 다자대화 참여가 실질적인 사안에 대한 합의 도달에 긴요하다는 입장하에 우리의다자대화 참여 실현을 위해 적극적인 외교노력을 경주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필립 리커 국무부 대변인은 이에 앞서 정례브리핑을 통해 "우리는 일본과 한국이 이 회담의 초기에 포함되도록 노력할 것이며, 이것은 우리의 우선사항들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우리가 북한 및 중국과 논의할 문제들 중 하나는 북한이 어떻게 핵무기 능력을 입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영구히 폐기하는 것이냐는 점"이라면서 "북한이핵무기 프로그램을 검증가능하고 되돌릴 수 없는 방법으로 폐기할 경우 우리는 (대북) 과감한 접근법을 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는 17일 "북핵문제를 다루기 위한 다자회담에 궁극적으로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 것은 불가결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 방일중인 리자오싱(李肇星) 중국 외교부장도 민주당의 간 나오토(菅直人)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당사국(북한)이 동의한다면 중국은 핵문제 해결을 위해 열리는다자회담에 한국과 일본이 참여하는데 유연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미.일 3국은 18일 워싱턴에서 이수혁(李秀赫) 외교부 차관보, 제임스켈리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및 야부나카 미토시 일본 외무성 아주국장이 참석한 가운데 3자회담에 대한 공동 대응책을 논의한다고 정부 당국자가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