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가 입학생들의 지역별 편중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2005학년도 입시부터 도입키로 한 '지역균형선발제'에서 일부 단과대의 모집비율을 당초 20%에서 최대 30%까지 확대할 전망이다. 반면 경시대회 입상자나 특정교과 우수자 등을 뽑는 특기자 모집 정원은 10%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는 15일 "일부 모집단위의 경우 특기자로 인정받을 수 있는 범위가 좁아 특기자 모집으로 10% 정원을 채우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왔다"며 "인문대 사회대 등의 단과대에서는 특기자 모집을 최소화하는 대신 지역균형선발제의 정원을 20∼30%내에서 확대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기자 전형 지원자 부족=서울대가 도입하는 특기자 모집은 각 단과대별 정원의 10%안팎에서 24개 경시대회 입상자나 일정단위 이상의 전문교과 이수자,특정교과성적 우수자 등에게 지원자격이 주어진다. 내신성적보다 서류평가만으로 학생을 선발하게 돼 일반고교에 비해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이 많아 내신성적이 다소 불리했던 과학고와 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 학생들에게 유리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일정단위 이상의 전문교과 이수자'라는 지원자격도 외국어나 물리Ⅱ 화학Ⅱ 등 특정과목에 탁월한 실력을 보유한 외고·과학고 학생들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경시대회 입상자도 마찬가지여서 서울대가 인정한 24개의 경시대회중 인문계열 학생들이 참가할 수 있는 경시대회는 국어,논리·논술,영어,제2외국어 경시대회 등 4개뿐이다. ◆어떻게 수정됐나=서울대는 일단 인문계 모집 단위에서 인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특기'의 종류를 검토한 뒤 해당 단과대와 협의를 거쳐 특기자 전형을 10%이하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특기자 전형이 줄어들면서 전체 정원의 30%를 선발해야 하는 수시모집에서 지역균형선발제를 통한 모집 정원이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인문대와 사회대 사범대 등 인문계열의 경우 10%를 뽑는 특기자 전형을 축소하는 대신 지역균형선발전형을 20∼30%까지 확대하게 된다. 또 서울대는 공대와 자연대의 경우 특기자 모집을 정원의 10%에서 더 확대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