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카드사 대책에 대해 증권시장과 투신업계는 '우선순위가 뒤바뀐 미봉책'이라는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카드채 거래를 재개시키는 것부터 풀어야 하는데 정부대책이 카드채 유동성 보완보다 카드사의 자본확충 등에 무게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2일 종합주가지수는 올랐지만 LG 국민 외환카드의 주가가 6∼9% 하락한 점도 시장의 이같은 반응을 반영한 것이다. 투신사들은 프라이머리 CBO(발행시장 채권담보부증권)방식이나 채권안정기금 조성 등 보다 강력한 처방을 하루빨리 내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카드채 거래 숨통 트일까=카드사 증자 규모를 4조∼5조원으로 늘린다는 것이 정부 대책의 주내용이다. 투신권이 보유한 카드채 11조원어치 가운데 5조원어치를 은행 보험 등이 사들이고 나머지는 투신사들이 만기를 연장한다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 성철현 LG투자증권 채권트레이딩 팀장은 "5조원 규모의 카드채라도 매매가 된다면 그동안 마비됐던 카드채 거래가 다소 숨통이 트일 것"이라면서도 "카드채 유동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펀드 환매사태 수습될까=투신사들은 보유 카드채를 팔아 고객의 환매 요구에 응해야 할 입장이다. 카드채가 팔려야 SK글로벌 분식회계 사태 이후 계속되는 MMF 환매 중단 사태를 수습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투신 업계는 5조원의 카드채 매입으로는 환매사태를 진정시킬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투신업계 관계자는 "90조원에 달하는 카드사 차입금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를 5조원으로 해결하려는 것은 너무 안이한 발상"이라며 "획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남은 숙제들=문제가 더 커지기 전에 프라이머리 CBO 방식이나 대규모 채권안정기금 조성 등 강력한 수급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게 투신업계의 주장이다. 투신업계는 또 카드채를 은행 등이 얼마에 매입할지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은행 등이 카드채를 헐값에 사들이려 한다면 카드채를 편입한 MMF 등 펀드의 투자 수익률이 낮아져 결국 환매사태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