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SK 후폭풍'] 崔회장 경영권 유지여부 촉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K는 최태원 SK(주) 회장이 보유지분 전량을 담보로 제공키로 한 것과 관련, "대주주가 책임지고 SK글로벌을 살리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며 경영정상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담보 제공을 통해 최 회장의 지배권이 사실상 사라질 수도 있는 위기에 처함에 따라 경영권을 계속 유지하는 문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신뢰회복 총력 =SK는 채권단의 요구대로 담보를 제공하고 채무동결 등의 금융지원을 받은 만큼 회생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보유 주식을 담보로 제공하더라도 경영권은 계속 행사할 수 있는 만큼 자구노력을 통해 정상화에 성공하면 주식을 되돌려 받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SK글로벌 관계자는 "관계사들과의 거래가 대부분인데다 이자를 연체한 적도 없고 지난해 2천4백억원대의 영업이익을 내는 등 펀더멘털은 좋은 편"이라며 "금융권이 여신만 차환해 주면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로 해외 거래업체들과 사업에 영향을 받기는 하겠지만 최악의 사태로 내몰리지는 않을 것으로 SK측은 보고 있다.
SK관계자는 "대우사태처럼 유동성부족으로 부도위기에 몰린 것이 아니므로 해외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계열사 안정화 =SK는 분식회계 파장이 다른 계열사로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SK 관계자는 "SK텔레콤이 SK글로벌에 30억원, SKC가 36억원 정도의 매출채권을 보유하는 등 계열사와 SK글로벌간 채권채무는 지극히 미미하며 지급보증관계도 거의 없다"고 밝혔다.
최악의 경우 경영정상화에 실패해 SK글로벌이 부도처리되더라도 각 계열사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리라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계열사별로 합법적인 범위내에서 SK글로벌을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SK텔레콤은 SK글로벌이 지난해 두루넷으로부터 3천4백68억원에 인수했던 전용회선을 재매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SK㈜도 SK글로벌로부터 직영주유소와 물류센터등 자산을 매입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SK 관계자는 "계열사들이 필요로 하는 자산을 SK글로벌에서 사들이는 형태로 지원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채권단과 주주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며 합법적인 범위내에서 지원이 이뤄질 것임을 강조했다.
SK는 계열사들이 독립경영체제로 운영되지만 'SK'라는 브랜드를 공유키로 한만큼 계열사간 시너지효과를 위해서도 어느 정도 지원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판매망을 SK글로벌에 의지하고 있는 SK㈜는 회사 존속을 위해서도 주유소망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해 소액주주들도 동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경영권 향배 촉각 =최 회장이 보유지분을 담보로 내놓음에 따라 최악의 경우 경영권을 잃을 수도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최 회장은 △SK㈜ 0.72% △SK글로벌 3.31% △SKC 7.50% △SK C&C 44.5% △SK케미컬 6.84% △워커힐 46.8% 등을 갖고 있다.
상장사 주식가치로는 1천2백억원대이며 비상장사 지분을 포함하더라도 2천억원대에 머물고 있어 연대보증채무등을 갚기에는 턱없이 모자라다.
SK는 또한 적대적 M&A의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다.
2월말 현재 60개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SK그룹의 지배구조는 SK㈜가 주요 계열사 지분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는 형태로 돼 있다.
이에 따라 SK㈜의 지분 5.2%를 보유한 최 회장이 그룹의 지배권을 장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 회장이 워커힐호텔 및 SK㈜ 주식 맞교환을 원상복귀 시키겠다고 발표함에 따라 SK㈜에 대한 지분율이 0.11%로 낮아지게 됐다.
최 회장의 개인회사인 SK C&C가 SK㈜의 8.63% 지분을 확보하고 있지만 출자총액제한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지분은 2% 안팎에 머물게 된다.
현재 SK㈜의 지분은 이밖에도 자사주 및 펀드(10.41%), SK건설(2.37%), SK케미칼(2.26%), SK신용협동조합(0.67%) 등 우호지분을 합쳐서 20%가 조금 넘는 상태다.
자구계획안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면 채권단이 지분을 팔아버릴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그룹 지배권이 통째로 다른 세력에 넘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SK 관계자는 "지금은 회사를 살리는데 주력할 뿐이면 경영권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지배구조 유지문제는 여전히 남은 숙제"라고 말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