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관(尹永寬) 신임 외교통상부 장관이 주변4강 국가와 유럽국가 등 주한 외국대사들을 잇따라 접촉해 북한 핵문제 해법에 나섰다. 학자 출신 윤장관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외교.통일.안보분과 간사로 지내면서'평화번영정책'을 근간으로 한 참여정부의 통일외교 정책의 밑그림을 완성했다. 지난달 27일 외교통상부 수장에 오른 윤 장관은 취임 전부터 대북 포용정책을 지지하면서 미국과의 수평적 협력관계를 강조해 북핵문제와 한미동맹 관계를 풀어나갈 적임자로 지목받았다. 윤 장관은 취임사를 통해 "우리의 국가위상에 걸맞게 의연하고 당당한 선진 외교를 펼쳐가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며 "더욱 균형있고 당당한 대외 관계를 주문하는국민의 소리에 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북핵문제 해법을 둘러싸고 미국측이 내세운 다자대화 방식과 북한이 주장하는 북미 양자대화 방식이 충돌하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관심을 끌었다. 한국은 그동안 북핵문제가 잘못 풀려 한반도에 긴장이 고조되거나 최악의 경우 전쟁 상황이 되면 가장 많은 피해를 보는 입장으로서 그에 따라 당사자이자 중개자로서의 역할이 동시에 요구돼왔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최근 민주당 지도부와의 청와대 만찬에서 "한국의 대북 정책은 일관성을 유지해 왔으나 2001년 9.11 테러이후 미국의 입장이 변하는 바람에 독자적인 노선이 불가피해졌다"고 밝힌 바 있다. 노 대통령은 "북핵문제에 대해 한미 입장이 똑같을 수 없는 상황에서 겉으론 이견이 없는 것처럼 쉬쉬하며 가느냐, 공개적으로 이견을 나타내느냐의 선택의 문제가 있다"며 "세계 여론에 호소하기 위해서는 공개적으로 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외교부 안팎에서는 새 정부가 한.미.일 3국의 대북정책조정그룹(TCOG) 등 기존의 협상틀은 유지하겠지만 이견이 있는 부분에 대해선 공개적으로 조율해 나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이라크 사태와 맞물려 윤 장관이 내세운 '당당한 외교'가 산적한 한반도 위기를 어떻게 풀어나갈 수 있을 지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khm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