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구 지하철화재사고수습을 위해 직접 나섬에 따라 표류중인 사고 수습과 복구가 활기를 띠게 됐다. 정부는 이날 오전 국무총리 주재로 건교부 등 6개부처 장관과 국무조정실장, 대통령비서실 정책.민정수석, 경찰청장, 대구시행정부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하철화재사고 수습.복구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사고수습.복구 추진상황, 당면 문제점, 각부처 지원상황 등이 집중 토의됐다. 고 건 신임 총리는 27일 오후 김두관(金斗官) 행정자치부장관 등과 함께 지하철참사 희생자들의 합동분향소를 찾아 조문 한 뒤 실종자 가족들과의 면담에서 "가족들이 원하는 바를 수용하기 위해 차관급 또는 1급직을 단장으로 하는 중앙정부 특별지원단을 만들어 사고수습이 마무리될 때까지 대구에 상주 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는 "실종자 가족들이 대구시 중심이 아닌 별도의 사고대책본부를 원하지만 관련법상 곤란해 이와 동등한 위상을 갖춘 지원단으로 만들겠다"며 "유가족이 원하는바를 수렴하고 신뢰관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지하철참사 실종자가족대책위는 국무총리가 중앙정부 차원의 지하철사건 특별지원단 파견방침을 밝힌데 이어 이날 오후 최종찬(崔鍾璨) 건설교통부장관이 대구에내려와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밝힐 것으로 보여 정부의 지원책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실종자 가족들은 "신임 총리가 첫 일정으로 대구를 방문해 희생자들을 위로한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당초 관련법에 따라 중앙정부 지원이 곤란하다면 특별법이라도 만들어 정부가 직접 나서도록 요구하려 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현재 대구시장이 주관하는 사고대책본부는 초기에 사건현장을 감식하는과정에서부터 사건을 조기종결로 몰고 가려는 의혹까지 너무 많은 의혹이 제기돼 믿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대구시 주도의 대책본부는 현재 9개반 123명으로 편성, 운영되고 있으나 실종자가족들이 대책본부의 무성의와 능력부재를 들어 26일부터 대화를 단절한 채 범정부차원의 대책본부 구성과 사망인정위원회의 유족 동수참여, 실종자 사망 선인정 후조사 등을 요구하고 있다. 실종자 가족대책위는 당초 이날 오전 지하철 중앙로역에서 청와대에 파견할 대표단 출정식을 갖기로 했으나 건교부장관과 면담을 가진뒤 대응방안을 마련키로 하고 이를 보류했다. 화재사고수습대책본부는 이날 현재 입원중인 부상자 125명에게 1인당 100만원씩의 2차 위로금을 지급했다. 한편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집단사망자관리단(단장 이원태)은 1080호 전동차에서수습된 시신 142구를 대상으로 이날부터 신원확인 작업에 착수했다. 관리단은 "유전자 감정을 위해 유가족과 수습된 시신에서 각각 434건과 323건의시료를 채취, 감정작업을 벌이고 있고 이날부터 법치의학적 감정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대구지하철 방화사건을 수사 중인 대구지방경찰청은 이날 기관사와 운전사령의 유.무선 대화내용을 기록한 테이프 녹취록을 조작한 혐의(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로 대구지하철공사 감사부 안전방제팀장 김모(42)씨 등 3명을 사법처리키로 했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 등 3명은 지난 18일 오전 대구지하철 방화사건 당시 1080호기관사 최모(39)씨와 종합사령팀 운전사령 손모(42)씨 간의 유.무선 통화내용을 기록한 테이프 녹취록을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또한 1079호 기관사 최모(34)씨와 종합사령팀장 곽모(50)씨, 중앙로역역무원 이모(39)씨 등 3명에 대해 업무상 과실 치사상 혐의 등으로 구속영장을 재신청했다. 경찰은 이와함께 지하철을 제작.납품한 H사 관계자들을 상대로 전동차가 설계도면대로 제작됐는지, 중앙로역사 공사 및 감리 담당자가 설계도면 대로 시공했는지,전기.소방 시설 관계자들이 안전시설을 제대로 설비했는지를 파악하는 등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대구=연합뉴스) 특별취재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