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김 부총리와 이 실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무현 정부 초대 내각 인선에서 클라이막스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청와대 관계자는 "이정우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진표 경제부총리의 발탁"이라고 말했다.
가장 파격적으로 여겨졌던 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과 강금실 법무부장관의 발탁을 제쳐 놓고 이 둘을 꼽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관계자는 "두 사람은 개혁과 안정의 조화라는 측면보다는 노무현 정부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실장은 지방대(경북대) 교수에서 노 대통령의 철학을 공급,전파하고 아젠다를 구축하는 요직인 정책실장 자리에 올랐다.
학교로 돌아가겠다는 이 교수를 노 대통령이 붙잡음으로써 양인의 관계는 측근이나 실무자가 아닌 '파트너십'으로 전환된 것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처음과 끝이 같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이 실장을 파트너로 끌어들임으로써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노무현식 정치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는 해석이 설득력 있게 들리는 대목이다.
김 부총리 임명에서는 인재를 버리지 않는 노 대통령 스타일을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김 부총리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이었지만 진보적 학자들의 집중적인 견제를 받아 한때 낙마설까지 돌았다.
이정우 교수가 정책실장에 임명되자 '코드'가 맞지 않아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그러나 노 대통령은 '현직 관료 중 가장 뛰어난 인재'라고 평가했던 김 부총리에 대한 신임을 저버리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의 발탁 과정은 동시에 "노무현식 인사의 한계를 보여줬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이 실장과 같이 정치적 사고와 철학을 공유하면서 파트너십을 형성할 수 있을 만한 질을 갖춘 인재풀이 그리 크지 않다는 점에서 그렇다.
김 부총리의 임명과정에서 나타난 '개혁세력의 반발'은 노 대통령의 신임으로 '제압'했지 대통령이 원하는 '시스템에 의한 조정'은 아니었다는 점도 한계라는 지적이다.
평가는 물론 차후의 문제다.
분명한 것은 두 사람이 '노무현식 인사'의 정점에 있고,국민의 삶과 직접적인 연관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의 어깨가 더욱 무거워 보인다.
김용준 경제부 정책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