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대부분의 국가들은 이라크 위기와 관련해 여전히 평화적인 해결을 희망하고 있으나 전쟁이 임박했다고 판단한 일부 국가들은 전쟁에 대비해 이라크 주재 자국 대사관을 폐쇄하거나 자국민 철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아시아의 유일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중국은 바그다드 주재 대사관 직원중 필수요원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을 전원 귀국시키기로 결정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10일 장치웨(章啓月) 외교부 대변인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슬람 국가로 이라크 전쟁을 반대해온 말레이시아는 시에드 하미드 알바르 외무장관이 이날 모든 외교관 가족들을 바그다드로부터 철수시킬 것을 지시했다고 베르나마 통신이 전했다. 통신은 남아있는 8명의 대사관 직원들과 200여명의 자국민대학생들은 전쟁이 발발하면 바그다드를 떠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의 한 외무부 관리는 바그다드 주재 인도 대사관은 여전히 업무를 계속하고있지만 대사관 직원은 축소됐다고 밝혔다. 불교국가인 태국은 이라크 주재 자국 대사관은 아직 열려있지만 대사관 직원 일부는 요르단 수도 암만에 있다고 밝혔다. 한편 몇몇 국가들은 이와 달리 향후 상황을 더 지켜보면서 만약의 사태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필리핀 블라스 오플레 외무장관은 이라크 주재 자국 대사 대리가 대사관 폐쇄에 대한 재량권을 가질 것이라며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겠지만 대사관을 아직 폐쇄하거나 비우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세계 최대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의 하산 위라유다 외무장관의 대변인 마르티 나탈레가와도 바그다드 주재 자국 대사관을 폐쇄하거나 6명의 대사관 직원을 철수시키는 것에 대해 "아직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일본은 바그다드 대사관이 지난 91년 걸프전 이후 폐쇄됐으며 이라크와의 외교관계는 요르단을 통해 이어져 왔다. (방콕 AP=연합뉴스) kaka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