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말 외환위기로 실업자들이 거리로 내몰리고 온 국민이 나라 살리는 데 보태라며 장롱 속 금붙이를 내놓던 시절.주가가 폭락해 '깡통계좌'가 속출했고 부자들은 이자만으로도 연간 수천만원,수억원을 챙겼다. 사회 전반적으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면서 폭로 저널리즘도 극으로 치달았다. '몰래 카메라'가 서울 압구정동에 있는 백화점 명품매장을 훑고 지나간다. 손님으로 가장한 기자가 점원에게 말을 건다. "이 모피코트 얼마예요?" "1억원짜린데요,예물로 잘 나가는 거예요." "더 비싼 건 없나요?" "2억원짜리도 있긴 있죠.진열 안하고 팔아요." 취재기자 멘트가 뒤따른다. "외환위기로 전 국민이 허리띠를 졸라매는데 졸부들의 사치로 위화감이 조성되고 경제위기 극복이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보도는 얼핏 보면 그럴듯해 보인다. 그러나 찬찬히 들여다보면 '무지와 무책임의 소치'란 비판을 면할 수 없다. 국민의 행복지수를 높이는 데도,경제를 튼실하게 하는 데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선 뉴스를 시청하는 서민들에게 심한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 부자들의 소비심리를 위축시켜 이들이 주머니를 닫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장롱 속에 돈이 묻히면 고통을 감당해야 하는 것은 고스란히 서민들의 몫이다. 최근에도 비슷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해외에 나가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언론의 표적이 되곤 한다. 해외 원정골프를 옹호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그러나 개인의 소비를 규제하는 법이라도 있으면 모를까,자본주의 사회에서 힘으로 누를 일도 아니고 누른다고 근절될 일도 아니다. 핵심은 대안이다. 부자들이 해외에 나가 돈을 뿌리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일이 중요하다. 가령 겨울에도 골프를 칠 수 있는 남쪽지방에 골프장을 많이 지을 수 있도록 불필요한 규제를 풀자고 주장할 수도 있다. 소비심리가 너무 급속히 위축되고 있다. 나라 안팎으로 불확실한 변수가 많아 소비자들이 좀체 주머니를 열려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불황 장기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일부 부유층의 과소비를 질타할 일이 아니다. 오히려 "부자들이여 지갑을 열라"고 호소하는 편이 낫다. 이웃 일본이 왜 10년 이상 불황에 허덕이는지 생각해보고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cd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