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정부에서 예산은 물론 인사, 급여 등 정부각 분야에서 성과관리제가 확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직인수위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가 최근 국정토론회를 통해 `효율적 자원배분'을 강조함에 따라 정부를 포함한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제를 우선 적용키로 하고 이를 위한 실천방안 마련에 나섰다고 인수위 관계자가 1일 전했다. 이 관계자는 "책임운영기관제, 성과관리제도, 성과주의 예산, 성과급, 목표관리등 성과관리와 연관되는 제도에 대한 총체적 검토를 하고 있다"며 "이들 제도를 유기적으로 결합해 한국형 성과관리제 모델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인수위는 정책결정 기능과 정책집행 기능을 구분, 성과관리 대상과범위를 명확히 하고 현재 일부 소규모 부서에 한해 실시되는 성과관리 시스템을 정부 부처에 시범적으로 확대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성과관리제 정착을 위해 사업예산의 일정 비율을 직무 및 목표 달성 등 성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에 사용토록 편성하는 한편, 계획 대비 실천을 정확하게 추적할수 있는 정보시스템도 조기 구축키로 했다고 인수위 관계자가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이락기자 choinal@yonhap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