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책硏 '테크노파크 성공 경영' 제언] "지역별로 핵심사업 특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테크노파크(Techopark)사업이 대학 산업계 연구기관 등에서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테크노파크사업의 정책을 종합분석한 "한국 테크노파크의 종합경영관리시스템"이란 보고서를 통해 "업종 중복 및 추진주체 혼선 등으로 인해 국내 테크노파크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STEPI는 "국가가 주체가 돼 선택과 집중을 통한 테크노 파크 특화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 내용을 소개한다.
◆테크노파크의 현황 및 문제점=테크노파크는 대학 산업계 연구기관 등 지역에 흩어져 있는 기술개발 조직을 한 데 모아 시너지효과를 내는 기술집적단지다.
국내에서는 현재 8개 테크노파크(송도 안산 충남 경북 대구 광주 전남 포항 부산)가 조성되고 있다.
또한 정부도 시도별로 1~2개씩 국가 테크노파크를 추가로 더 지정할 계획이다.
그러나 지역 특화산업을 중심으로 테크노파크가 추진되지 않고 첨단산업을 앞세운 특화업종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업종 중복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모든 테크노파크가 정보통신 업종을 포함시키고 있으며 바이오도 대부분 주요 사업으로추진되고 있다.
테크노파크는 4개 이상을 특화분야로 선정,특정분야에 투자를 집중하지 못하고 있다.
테크노파크를 전담할 기관이 없는 것도 문제다.
송도 테크노파크와 광주 테크노파크를 제외하곤 연구기능이 있는 대학 연구소에 전담기관을 위임하고 있다.
◆대책=지방 재정이 취약한 상황에서 자생적 수입에 의한 재정자립을 실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한국에 적합한 테크노파크는 수익성을 높이는 것보다 지역을 살릴 수 있는 공익적인 성격으로 조성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 정부가 직접 나서 테크노파크를 운영하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선택과 집중 원칙에 따라 지역의 핵심 역량이 무엇이며 꼭 필요한 사업이 무엇인지를 파악한 다음 1~2개 핵심사업으로 특화해야 한다.
정부는 3년마다 한 번씩 테크노 파크를 평가,성과에 따라 차등적인 예산지원을 해야 한다.
전국의 테크노파크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경영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관련법도 제정돼야 한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