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가 만난 모교총장] 박재윤 <부산대 총장>-윤병철 <회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방대가 들떠 있다.
새 정권이 '지방분권과 국가 균형발전'을 10대 개혁과제로 내놓고 지방대 활성화에 적극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인적자원부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업무보고에선 지역인재 채용목표제와 지역별 우수거점대학 집중지원 등 구체적인 지방대 활성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CEO가 만난 모교총장'.
이번에는 '지방대 활성화'를 주제로 박재윤 부산대 총장과 윤병철 우리금융지주회사 회장이 대담을 나눴다.
-----------------------------------------------------------------
윤병철 회장 =그동안 우리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등 모든 분야에서 중앙(서울) 중심의 메커니즘으로 운영돼 왔는데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지방 분권과 지역 균형발전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지역 균형발전 전략에 따라 지방소재 대학들이 발전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부산대는 어떤 발전방안을 계획하고 있나요.
박재윤 총장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정부가 지방대학을 집중.육성해야 하지만 이에 앞서 지방대학들이 변화하려는 노력을 해야겠죠.
이미 부산대는 국제화 대학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실질적인 국제화대학을 위해 16대 국제화사업을 추진중이며 미국 UCLA,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 싱가포르 국립대학, 중국 후단대 등 환태평양지역의 7개 해외대학과 복수 학위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 전세계 18개국 86개 대학과 학술 교류협정을 맺고 있으며 서울대 고려대 등 21개 국내대학과도 교류협정을 체결했습니다.
이밖에 학내 언어교육원에 영어사용 전용라운지를 개설했으며 앞으로 영어전용 영화관도 만들 생각입니다.
윤 회장 =외국대학과의 제휴도 중요하지만 외국 학생들을 부산대에 유치하는 것도 장기적인 인재 네트워크 구축 측면에서 중요하지 않을까요.
박 회장 =맞습니다.
현재 부산대에는 1백40명 가량의 외국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는데 앞으로 더 늘려야겠죠.
특히 부산대는 중국학생들을 끌어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학내에 '중국센터'를 설치해 중국유학생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국 현지의 고등학교 홍보와 함께 현지의 대학박람회에서 학생유치 활동도 벌이고 있죠.
이와 함께 언어교육원에서는 한국어 능력이 모자라는 외국 학생을 대상으로 1년동안 무상교육을 실시하고 국내학생과 외국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는 기숙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윤 회장 ='동북아 비즈니스 허브'가 정부와 기업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인재육성을 담당하는 대학의 역할이 중요하겠죠.
하지만 수험생 수가 줄어들고 대학은 양적으로 엄청난 팽창을 하면서 지방대학의 경우 학생유치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요.
부산대의 전략은 무엇인가요.
박 총장 =그렇습니다.
부산지역의 2.4년제 대학들도 올해 모집정원보다 2천4백명 가량 지원학생이 부족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부산대는 지금까지 특화된 교육을 꾸준히 추진해 오면서 올해 입시에서 3.5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학생수급에는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다른대학과 차별화된 교육을 위해서는 좀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장학금혜택도 늘려 현재 우수학생들에게는 4년간 등록금을 면제하고 생활비도 지원하고 있죠.
앞으로는 장학금을 최대한 늘려 우수학생에게 집중 지원하도록 할 겁니다.
윤 회장 =부산대가 양산에 제2캠퍼스를 만든다고 들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운영할 생각인가요.
박 총장 =지난 30년동안 추진해 왔던 제2캠퍼스가 완공되면 앞으로 부산대는 전통과 첨단을 두루 갖춘 대학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겁니다.
우선 제2캠퍼스에는 의과대학과 치과대학, 일부 이공계학과의 학문을 담당하는 '생명과학 캠퍼스'로 만들고 산.학협동을 위한 연구소도 설치할 생각입니다.
기존의 제1캠퍼스는 인문사회계열의 학문을 할 수 있는 고전적인 캠퍼스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윤 회장 =고도성장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는게 대학의 역할입니다.
그러나 요즘 대학인재들의 역량이 기업의 요구수준에 못미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앞으로 대학은 고도 기술을 생산해내는 '연구중심센터'로 발전해 나가야 하지 않을까요.
이를 위해 우선 산.학협동을 통해 기업과 대학이 서로 협력하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데요.
박 총장 =그동안 대학이 공급자 중심의 운영방식을 고집해 왔는데 앞으로 기업과 사회의 필요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부산대는 올 3월부터 '인적자원개발센터'를 개설해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무엇인지, 어떤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인지를 연구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여성연구소'에서도 3월부터 여학생들의 사회진출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윤 회장 =지방대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사회뿐 아니라 정부차원의 지원도 필요합니다.
지방대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지원방안에는 어떤게 있을까요.
박 총장 =우선 대학에 대한 중앙정부와 광역단체 등의 재정지원이 이뤄져야 합니다.
미국의 경우 대학에 대한 투자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라는 인식에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학에 대한 투자가 활발합니다.
지방대학의 연구소에 지원하는 연구개발(R&D) 예산을 늘리고 대학내 창업보육관련 재정을 대폭 늘린다면 지방대가 지역거점대학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겁니다.
다음으로 지방소재 대학간에도 경쟁체제를 도입해야 합니다.
정부도 대학에 지원할 때 성장 잠재력과 발전계획 등을 따져 선별적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평가 방식도 정부가 일방적인 평가틀을 제시하기보다 대학들이 제출하는 자율적인 계획에 대해 평가하는 방식으로 변해야 할 겁니다.
윤 회장 =지난 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은 지배구조를 투명하게 운영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금융권도 인수합병 등을 통한 구조조정을 해왔죠.
이제 대학도 기업과 마찬가지로 분야별 제휴나 대학간 인수합병 등의 구조조정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박 총장 =대학의 구조조정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우선 입학정원을 대학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정부는 교수 1인당 학생비율이나 연구시설비율 등 일정기준만 제시하고 대학자율에 맡긴다면 경쟁력이 없는 대학은 자연스럽게 경쟁력있는 대학에 합병되는 등 구조조정이 이뤄질 겁니다.
대학간 자유경쟁이 도입된다면 자연스럽게 특정분야 학문에 있어서 대학간의 협업도 늘어날 겁니다.
예를 들어 부산대는 두뇌한국21 사업에서 전자.컴퓨터 분야에 38억원을 지원받고 지난해 노벨상수상자를 포함한 90여명의 세계적인 석학들이 참여하는 '아시아나노바이오 과학기술연구원'을 유치하는 등 기계공학분야에 경쟁력을 지니고 있는데 이 분야에서 다른 대학과의 협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겁니다.
정리=정구학.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