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공사(1∼4호선) 노조가 시의 지하철심야 연장운행 강행에 반발, 7일 부분파업에 돌입했다. 그러나 노조원의 절반 가량이 정상 근무하면서 지하철은 정상운행되고 있다. 지하철공사 노조는 6일 오후 지하철 연장운행에 따른 인력충원 등의 문제를 놓고 사측과 벌인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당초 예정대로 7일 오전 9시 근무교대시간에맞춰 노조원 일부가 돌아가면서 이틀씩 휴가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부분 파업에 들어갔다. 노조측은 지회별로 조합원들의 연월차 휴가원을 취합, 사측에 제출하는 방식으로 부분 파업을 진행중이다. 그러나 부분 파업에도 불구, 3조2교대 근무방식에 따라 조합원의 절반 가량이근무를 하고 있어 시의 대체인력 투입 없이 지하철은 정상 운행되고 있다. 노조의 부분 파업이 계속되더라도 시가 초기에 비상인력 6천500여명을 투입, 평상시와 같이 지하철을 운행할 계획이어서 파업에 따른 시민 불편이 발생할 가능성은크지 않을 것으로 공사측은 예상하고 있다. 노사 양측은 이날 오후 2시 협상을 재개할 예정이다. 노조는 부분 파업 이후에도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오는 14일부터 전면파업에돌입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어 시의 비상수송 대책에도 불구,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인력부족 등에 따른 지하철 파행운행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조 관계자는 "부분 파업 초기 지하철 차질운행 등이 빚어지지는 않겠지만 며칠 계속되면 인력운용에 부하가 걸리면서 적지 않은 파업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그러나 부분 파업기간에도 사측과의 교섭을 성실히 진행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aupf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