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투자 열풍을 타고 한동안 우후죽순격으로 등장했던 프리(pre)코스닥펀드가 고객의 투자자금 환매요구에 응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파문이 일고 있다.


26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2000년 비상장.비등록 기업에 신탁재산의 상당부분을 투자하는 "W펀드"를 설정했던 대한투신운용은 이 펀드에 투자했던 고객의 환매요구에 대해 무기연기조치를 내렸다.


큰 시세차익을 노리고 상장이나 등록이전 단계에 있는 벤처기업의 주식에 투자했지만 거품이 꺼지면서 투자했던 주식을 현금화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프리코스닥펀드에 자금을 넣어둔 투자자들은 돈을 되돌려 받지 못하게 됐다.


환매가 무기연기된 W펀드의 수탁고는 설정초기 4백억원이 넘었지만 이날 현재 50억원 가량이 남은 것으로 알려졌다.


투신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례뿐만 아니라 다른 투신사의 유사 펀드에도 이같은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유동화가 제약될 수 있는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이면서도 투자위험을 고객에게 알리지 않은 운용사 뿐만 아니라 당시 이같은 펀드를 폐쇄형이 아니라 개방형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약관을 승인한 감독당국의 책임문제도 불거지고 있다.


투신업계 관계자는 "프리코스닥펀드의 문제는 과거에도 한국 현대투신 등다른 투신사에서도 몇 차례 발생했지만 그 때마다 펀드자산을 투신사가 대신 떠 안거나 대체펀드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환매를 연기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덮어왔다"고 지적했다.


박민하 기자 hahaha@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