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서 가계대출을 받은 개인 고객 10명중 6∼7명이 연간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2백50% 이상인 것으로 추정됐다. 20일 금융감독원과 금융계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의 기존 대출고객 가운데 부채비율 2백50% 이상인 고객의 비중이 적게는 50%에서 많게는 80%인 것으로 추정됐다. 국내 최대 은행인 국민은행의 경우 부채비율 2백50% 이상 고객의 비중을 약 70%로 추정하고 있다. 부채비율 2백50%가 넘는 고객에 대해선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올리고 대출액을 줄이는 등 다른 고객들과 차등을 둘 예정이어서 적지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은 앞으로 부채비율 2백50%가 넘는 고객에 대해선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각각 0.25%포인트와 1%포인트씩 올리기로 했다. 우리은행도 비슷한 금리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대출가능액 자체를 줄일 예정이다. 이는 금융감독원이 부채비율 2백50%를 넘는 고객에 내준 대출에 대해선 은행들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산정때 위험자산 가중치를 50%에서 60∼70%로 올린데 따른 것이다. 은행 관계자는 "부채비율 2백50% 이상인 고객에 대해 대출한도를 축소하는 등 지나치게 규제를 가하면 신용불량자가 속출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