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정부가 국민생활 안정대책의 일환으로 배정한 주식을 의무보유 기한 이전에 현금화한 싱가포르인들이 100만명을 넘어서는 등최근 경기침체에 대한 체감지수가 극히 악화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18일 현재까지 모두 130만건에 달하는 `뉴 싱가포르 주식' 환매 신청을 접수했으며, 125만싱가포르 달러(미화기준 71만달러)를 지급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싱가포르 국가연금기관인 `센트럴 프로비던트 펀드보드'(CPFB)는 공식적인 논평을 유보하고 있지만 야당인 민주진보당은 경기악화를 반영하는 것이 분명하다며 대정부 공세에 나서고 있다. 민주진보당 만소르 라흐만 당수는 "국민들은 정부가 나눠주는 어떤 주식이든 현금화를 선호한다"면서 "이는 대다수 싱가포르인들이 자금난에 직면해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아주 큰 문제"라고 개탄했다. 싱가포르인들이 현금화에 나선 주식은 빈곤층을 대상으로 주식을 배정하는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작년 11월 도입한 것으로 규모는 27억달러에 달하며, 배정물량은200-1천700주로 저소득층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물량이 배정됐다. 연간 최저 3%의 수익률 보장조건으로 경제여건이 나아질 경우 추가수익이 발생하게 된다. 싱가포르인들은 주식 현금화와 관련, 모든 규제가 해제되기 전 첫 12개월은 보유주식의 최대 절반까지 매도가 제한되지만 이를 현금화하는 사람들은 생활비 마련을 위해 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작년 국내총생산(GDP)이 2.0% 떨어지는 최악의 경기침체를 경험한 싱가포르는올 2.4분기 침체에서 벗어났으나 다시 악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이런 상황을 반영, 올 성장 전망치 3.0-4.0%를 달성할 수 없다는 비관적인 전망을 공표한 바 있다. (싱가포르 AFP=연합뉴스) kk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