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기술수준은 선진국의 60~70% 수준이며 연구개발투자는 다국적기업 1개사 규모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2일 내놓은 '노벨과학상 수상 가능성 제고방안'이란 보고서에서 한국은 일부 기술의 경우 선진국 수준에 근접했으나 전반적으로는 아직 낙후돼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기본설계와 핵심부품 소프트웨어 등 핵심기술 분야에서는 선진국에 크게 뒤떨어져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이 보고서에서 한국의 전체 연구개발투자 규모는 미국의 20분의 1,일본의 11분의 1,독일의 4분의 1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연구원 수는 미국의 10분의 1,일본의 6분의 1에 불과하며 인구 1만명당 연구원 수도 22.9명으로 일본의 52.1명,미국의 41.0명,독일의 29.3명에 비해 훨씬 적다고 밝혔다. 삼성은 또 "대학의 총장선거제도,교수 정년보장 등 시대에 뒤떨어지는 제도들이 과학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과학기술진흥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기여입학제를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노벨상 수상이 국가 이미지를 개선하고 과학기술계 발전의 계기를 마련한다며 수상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국가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아시아권에서는 일본 9명,중국 2명,인도와 파키스탄 각 1명의 과학분야 노벨수상자가 배출됐으나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한 명도 타지 못했다. 이갑수 수석 연구원은 "일본정부는 앞으로 50년간 30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며 "자연과학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에 근접한 일본인 연구자는 20명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삼성은 또 총장선거제도,대학교수의 정년보장 등 시대에 뒤떨어지는 제도들로 인해 유능한 대학 경영자와 교수를 초빙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기여입학제를 허용해 그 일정부분을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기금으로 적립하는 방안을 국가적 차원에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노벨상 수상을 위한 인프라 확충방안으로 △초·중·고교의 자연과학,이공계 교육과정에 '흥미'라는 요소를 가미하고 △대학과 과학자들에 대한 기업의 지원을 유도하는 세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노벨상 수상이 가능한 해외 과학자와 국내 유망 학자간 공동 연구를 지원하고 △한국의 연구성과를 알릴 수 있도록 스웨덴과의 학술협력과 외교관계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