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개발 파문이 한반도를 강타하고 있는가운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구상에 관심이 모아지고있다. 북핵 문제는 기본적으로 북한의 핵개발 포기선언이 이뤄져야만 풀릴 수 있는 사안이지만, 김 대통령의 구상과 의지는 한미일 3국이 해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주요변수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대통령은 북핵 문제가 우리 민족의 생존이 걸려있는 중차대한 사안으로 판단,가능한한 언급을 자제하면서 신중한 행보를 보이고 있으나, 최근 몇차례의 연설을 통해 북핵문제에 대한 김 대통령의 인식과 해법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우선 김 대통령은 "북한의 핵 개발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 확고한 입장을 갖고 있다. 김대통령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 시인 사실이 발표된 17일 청와대 참모진을 통해 "어떤 경우에도 북한의 핵개발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어 김 대통령은 21일 제57주년 경찰의 날 기념식 연설에서도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북한의 핵 개발 등 대량살상 무기에 의한 위협은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은 또 22일 오후 백범기념관 준공연설에선 "핵과 같은 대량살상 무기는 결코 용납될 수 없다"면서 "우리의 국가안보를 위해서는 물론 남북한의 공존을위해서도, 북한의 대량살상 무기 개발은 반드시 폐기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김 대통령의 잇단 언급은 북한에 대해 `결자해지' 차원에서 스스로 문제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김 대통령은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이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김 대통령은 제8차 남북장관급 회담 참석차 북한을 방문중인 정세현(丁世鉉) 통일부 장관을 통해 북한측에 우리 정부가 핵개발 불용과 평화적 해결이라는 2대 원칙을 갖고 있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통령은 또 미국과 일본측에도 한미일 3국이 확고한 공조를 통해 `대화를통한 평화적 해결' 원칙을 지키면서 북한의 반응을 봐가며 신중하게 대응책을 모색하자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통령은 백범기념관 준공 연설에서도 "안보태세를 확고히 하는 한편 굳건한한미동맹의 토대위에 한미일 공조를 더욱 강화함으로써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반드시 지켜내야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대통령은 유엔과 유럽연합(EU), 중국과 러시아 등 우리의 대북 화해협력 정책을 지지하고 있는 국제사회를 통해서도 우회적인 대북 압박을 가한다는 구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 대통령이 이같은 북핵 해법 구상은 오는 26일 멕시코 로스 카보스에서 열리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와의 3자 정상회담에서 분명하게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3자 정상회담이 북핵 문제에 대한 `큰 틀의 논의'를 위한 자리인 만큼 김대통령은 로스 카보스 회담에선 각론 부분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와 관련, 청와대 외교당국자는 "3자 정상회담에선 큰 틀의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면서 "한미일이 먼저 조치를 취하면 북한을 불필요하게 자극할 우려가 있는 만큼 다음 단계의 조치들은 북한의 행동을 봐가며 신중하게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재용 기자 jj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