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국회 정무위의 국정감사에선 전날에 이어 현대의 대북 5억5천만달러 지원 의혹에 대한 논란이 계속됐다. 특히 한나라당 의원들은 대북송금과 관련한 구체적 정황증거를 들이대며 의혹의 불씨를 살려가는데 주력했다. 한나라당 이성헌 의원은 전날 자신이 제기한 현대건설의 '대북 1억5천만달러 제공' 의혹과 관련,"2000년6월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그 해 5월 이익치 회장이 김재수 구조조정본부장을 불러 대북 송금을 지시했다"면서 "김 본부장은 이 회장의 지시에 따라 임원회의를 거쳐 1억5천만달러를 홍콩과 싱가포르 소재 국제은행으로 보냈고 이를 다시 6개 계좌로 나눠 북에 송금했다"고 주장했다. 엄호성 의원은 현대상선의 '대북 4억달러 비밀지원'의혹과 관련,"북한 아태평화위원회가 중국 베이징이나 마카오 또는 홍콩에 페이퍼컴퍼니를 운영하면서 외화벌이를 위해 개설한 가공계좌를 통해 4억달러가 송금됐다는 제보가 있다"면서 "지난 2000년 4월10일 박지원 당시 문광장관이 베이징에서 북한 송호경 아태평화위 부위원장과 남북정상회담에 합의하면서 이같은 시나리오가 전달됐다는 의혹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관련계좌 추적을 요구했다. 그는 또 "지난 99년12월과 2000년2월 국유재산 특별회계로부터 총 7천억원을 대출받은 산업은행에서 그 해 6월 4천9백억원이 일시에 빠져 나갔다는 것은 당시 재무상태로 봐선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재차 의혹을 제기했다. 답변에 나선 이근영 금감위원장은 "산은이 정부로부터 현물출자를 받은 것은 BIS(국제결제은행)비율을 맞추기 위한 것이었다"고 해명하고 "이번 현대상선 건과 같은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 기업들의 계좌추적을 할 수 있는 권한은 없다"고 말했다. 김병일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