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중국 외교부 청사 진입을 시도하다 체포된 탈북자 7명 문제와 관련,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중국 주재 외국 공관에 진입했거나 하려 했던 탈북자 사건과 성격이 달라 정부의 개입 수준을 정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에 대한 탈북자 단체들의 정면도전으로 비쳐질 수도 있는 사안이어서 정부도 입장정리에 신중을 기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아직 우리 정부에 사건 내용에 대해 정확히 확인해 주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당국자는 27일 "아직 정확한 사실을 파악중인 상태"라면서 "하지만 언론보도 내용이 사실이라면 우리가 어떤 것을 할 수 있을 지, 어떻게 손을 댈지 곤혹스런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당국자들은 이번 사건에 대해 탈북자들이 중국 정부기관에 진입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중국 국내법적 문제의 성격이 있는 데다 난민지위신청서 제출과 관련돼 있기때문에 엄격한 의미에서 제3자인 우리가 관여할 여지가 적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이번 사건에 국내 탈북자지원 NGO(비정부기구)들이 개입했을 경우 그동안 우리 정부에 대해 중국내 NGO 불법활동 억제를 요구했던 중국측의 문제제기로 인해한중간 마찰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그러나 `원하지 않는 곳에 강제송환돼선 안된다'는 기존 입장에 따라 이번 사건의 사실관계를 확인한 후 탈북자에 대한 인도적 처리를 요청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자는 "우선 정확한 사실관계를 지켜보겠다"면서도 "탈북자 7인이 한국행을 희망할 경우 인도적 처리를 요청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