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봉(1892-1982) 스님 20주기를 맞아 지난 7월출간된 단행본 「꽃은 져도 향기는 그대로일세」(예문刊)가 무단전재와 가필로 말썽을 빚고 있다. 서울 성북동 길상사(吉祥寺) 주지 덕조 스님은 이 책이 법정 스님의 글을 서문으로 무단사용했을 뿐 아니라 일부 내용도 임의로 고친 상태로 출간됐다면서 문제의서문을 모두 없애라는 서한을 지난 14일 출판사에 보냈다. 길상사 회주 법정 스님의 맏상좌인 덕조 스님은 "이 책의 서문에 대해 엮은이인명정(통도사 극락암 선원장) 스님과 시인 정성욱씨에게 전화로 항의하고 시정을 요구했으나 납득할만한 반응이 없어 내용증명을 보냈다"고 말했다. 출판사와 엮은이들이 이같은 요구에 응하지 않을 경우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게 덕조 스님측의 입장이다. 문제는 명정 스님과 정성욱씨가 「꽃은 져도 향기는 그대로일세」를 출간하는과정에서 법정 스님이 1985년 「삼소굴 일기」에 써준 서문을 사전양해 없이 사용하면서 비롯됐다. 「삼소굴 일기」는 경봉 스님의 상좌인 명정 스님이 20여권째 출간해온 경봉 스님 문집으로, 덕조 스님은 "큰스님(법정)에게 누가 되지 않게 하고 어지러워진 출판관행을 바로잡기 위해서라도 이 문제는 반드시 원칙대로 해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명정 스님과 정성욱씨는 길상사측의 전화항의에 대해 사과의 뜻을 팩스로 보냈으나 덕조 스님은 이렇다할 사후조처없는 사과는 진정한 사과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내용증명을 보내기에 이른 것. 게다가 사과 팩스에 대해 명정 스님이 "보낸 사실 자체를 모른다"고 말해 사태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아울러 명정 스님은 경봉 스님의 서간과 일기 등이 묶여 최근 출간된 「편지」(고요아침刊)도 사실상 '도둑출판'이라고 주장해 문제가 확산될 조짐마저 보인다. 명정 스님은 "정성욱씨가 「삼소굴 일기」의 내용을 교묘하게 베껴 먹었다"며 "이런 일이 그동안 수 차례 되풀이돼왔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정씨는 "「꽃은 져도...」의 서문 사용은 사과를 통해 일단락된 것으로 알고 있으며 「편지」는 명정스님과 정식 출판권 설정계약을 하고 낸 것이어서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해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임형두 기자 id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