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부품.소재의 신뢰성 수준은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 선진국의 60~70%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동력전달기계 유공압기계 산업기계 등 기계류는 그나마 지속적인 연구개발(R&D)을 통해 선진국의 65~75% 수준까지 올라섰다. 자동차부품과 전력기기 가정용 전자기기 등도 70%에 근접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용 전자기기와 정보통신기기 전기소재 섬유소재 등 주력 산업의 주춧돌이 되는 첨단 부품.소재의 신뢰성은 50~60%선에서 맴돌고 있다. 이처럼 국내 신뢰성 수준이 낮은 것은 설계기술은 물론 평가기법 인력 장비 등 전반적인 인프라가 취약하기 때문이다. ◆ 신뢰성 기반 구축 시급하다 국내 기업이 신뢰성의 중요성에 눈뜨기 시작한 것은 지난 90년대 중반 이후다. 그러나 아직도 극소수 대기업만 신뢰성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을 뿐 대부분의 기업들은 품질과 신뢰성의 차이조차 구분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R&D 설비의 경우 생산현장의 품질.성능 시험장비를 들여오는데 급급할 뿐 온도 습도 진동 충격 등 제품의 신뢰성을 종합 평가할 수 있는 환경 실험장비를 도입하는 곳은 드물다. 신뢰성 전문지식을 갖추거나 첨단 실험장비를 다룰 줄 아는 연구인력도 태부족이다. 현재 국내 신뢰성 기술인력은 모두 합쳐봐야 1백64명에 불과하다. 미국 와일리연구소(1천3백명)나 일본 도레이 리서치센터(4백13명) 등 세계 유수의 단일 연구기관에도 훨씬 못미친다. ◆ 정부 지원방안 산업자원부는 선진국 수준의 신뢰성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오는 2005년까지 모두 3천2백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아울러 전 산업과 대학 연구기관에 신뢰성 향상 운동을 확산시키기 위해 내년부터 신뢰성 인증제품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대대적인 캠페인도 펼친다는 구상이다. 우선 생산기술연구원 등 7개 신뢰성 평가기관을 통해 2005년까지 2백50개, 2010년까지 5백개의 부품.소재에 신뢰성 인증을 해주기로 했다. 신뢰성 인증기업에는 기술 우대 보증을 통해 제품 양산자금을 대주고 시제품 고장분석 및 기술평가 비용의 50%를 국고에서 지원할 계획이다. 또 오는 9월까지 품목.업종별 신뢰성 평가 표준지표를 개발, 내년부터 부품.소재 기술개발 사업자를 선정할 때 신뢰성 평가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2005년까지 10개 대학에 신뢰성 전문대학원 과정을 신설, 매년 2백명의 석.박사급 연구인력을 양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가을 학기부터 한양대와 부산대에 교육과정을 시범 운영하는 한편 매년 25억원을 장비 구입비와 장학금으로 지원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