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와 노동계가 협상결렬의 책임을 서로에게 전가하며 향후 입법 과정에서 법안내용을 유리하게 끌어가기 위해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한국노총은 23일 성명을 내고 협상결렬의 책임을 재계로 돌린 뒤 "정부 입법추진 과정에서 노동계의 입장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노동계가 수용하기 어려운 입법이 추진되면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한국경영자총협회와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경제5단체는 주5일 근무제 도입과 관련한 노사정 합의가 무산된 책임이 정부와 노동계에 있다며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재계는 "그동안 논의과정에서 국제기준에 반하거나 미흡한 부분까지도 양보.수용하면서 합의성사 노력을 지속해 왔다"며 "그러나 노동계는 연.월차 및 생리휴가에 대한 금전보상 없이는 어떤 합의도 어렵다는 입장을 끝내 유지해 합의결렬에 이르게 됐다"고 주장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