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9일 월드컵 대회의 8강 신화 창조 등을 계기로 국력결집과 경제 재도약을 적극 도모하기 위해 범정부적 차원에서 '포스트-월드컵'(Post-Worldcup) 종합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박지원(朴智元) 청와대 비서실장은 "정부는 월드컵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위상을한 단계 높이기(업그레이드) 위해 범정부적인 차원의 후속대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표(金振杓) 정책기획수석도 "월드컵 과정에서 표출된 국민적 에너지를 국가발전의 동력으로 삼기위한 범정부적 대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부는 성공적인 대회 운영과 우리 대표팀의 선전, 성숙한 응원문화 등으로 국가 이미지와 한국상품의 브랜드 가치가 크게 향상된 점을 활용, 월드컵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키로 했다. 이를 위해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은 19일 낮 이건희(李健熙) 삼성그룹 회장을 비롯한 주요 재벌총수들과 오찬을 겸한 간담회를 갖고 월드컵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포스트 월드컵' 대책의 핵심개념(키워드)을 '업그레이드 코리아'로 정하고 월드컵 대회가 끝나는 대로 경제, 외교안보, 교육인적자원, 사회문화 등 4대분야별 장관회의를 갖고 분야별 대책을 수립해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그러나 `포스트 월드컵 대책추진위원회' 등 별도의 기구를 구성하지 않고 '청와대 월드컵 태스크포스'와 총리실을 중심으로 월드컵 후속대책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김진표 수석이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재용기자 jj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