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 증권 3사에 대한 해외 매각은 주식투자 손해와 대우채 손실 등으로 자기자본이 완전잠식된 현투증권 경영정상화에서 출발했다. 2000년 당시로선 현투증권의 부실이 심해 사겠다는 투자자가 나서지 않자 현대증권까지 패키지로 묶은 성격이 강했다. 지난해 8월 금융감독위원회와 AIG컨소시엄은 현투증권 매각에 관한 MOU(양해각서)를 맺으면서 투자선행 조건을 달았다. AIG와 정부간의 본 계약, AIG와 현대증권간 출자 계약, 컨소시엄 구성원간 계약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체결한 MOU의 내용은 AIG라는 고유명사만 빼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푸르덴셜 등과 벌이는 협상도 MOU의 골격대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투증권 정상화를 위해 소요되는 자금은 2조원에 달하고 있다. 정부가 45%인 9천억원, 정부와 계약을 맺는 해외투자자가 55%인 1조1천억원을 떠안게 된다. 외국계 투자자는 현투증권에 6천억원을 직접 출자하게 된다. 여기에 앞서 현투증권 주요주주인 현대증권에도 4천억원을 출자, 의결권 있는 우선주 5천7백여만주를 인수하게 된다. 외국계 투자자가 현투운용에 투입하는 자금은 1천억원이다. 외국계 투자자가 현대증권에 출자한 4천억원은 그대로 현투증권에 재출자된다. 정부가 투입하는 9천억원중 8천억원은 현투증권에 직접, 1천억원은 현투운용을 거쳐 현투증권으로 들어가도록 돼 있다. 결국 정부가 쏟아붓는 돈은 모두 현투증권으로 유입되는 셈이다. 당시 맺은 MOU는 해외투자자가 출자완료 1년후부터 3년간 정부지분 매수권, 즉 콜옵션을 갖도록 했다. 또 양측은 상대방 동의없이 3년간 지분을 매각하지 않기로 약속했다. 정부는 MOU 체결 당시 "정부와 AIG의 공동출자로 현투증권이 곧 정상화될 것"이며 "그에따라 한투증권이나 대투증권 등 비슷한 처지의 전환증권사도 외자유치가 활발해져 투신업계 발전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었다. 박기호 기자 kh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