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퀘스트 하반기 반도체 낙관] 내년 D램시장 339억弗 예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D램 시장에 대한 UBS워버그증권의 비관적 분석이 국내 증시에 큰 충격을 줬지만 세계적 IT조사기관인 가트너 데이터퀘스트는 D램 시장이 올해 78% 성장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내놓아 관심을 끌고 있다.
데이터퀘스트는 D램 시장이 3.4분기부터 회복될 것이라며 워버그증권과는 전혀 다른 분석을 냈다.
한편 D램 현물시장에서는 마이크론의 매물공세로 대만업체들이 현금난에 처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새로운 생존게임이 전개되고 있다.
하반기 회복전망=지난해 D램시장은 1백19억달러로 2000년의 3백16억달러보다 62.4% 감소했다.
그러나 올해는 2백12억달러로 2000년 수준에는 못미치지만 78%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2003년에는 3백39억달러로 증가해 2000년수준을 회복한다는 시나리오다.
메모리용량증가율은 50%에 달할 전망이다.
지난해의 경우 가격이 낮아졌지만 D램업체들의 생산성향상이 지속돼 시장에 출하량은 63% 증가했었다.
메가비트당 평균판매단가는 지난해 77%하락에서 올해 19% 상승으로 돌아서고 내년에도 4%가량 오를 전망이다.
이는 올해 1백28메가 D램의 평균 판매가격 추정치를 4.4달러에서 3.1달러로 낮추고 내년에는 3.4달러에서 1.7달러로 조정한 UBS워버그의 전망과는 정반대되는 예측이다.
가트너는 휴대전화에 D램이 장착되기 시작하겠지만 PC가 여전히 D램을 수요하는 주요 상품의 위치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시장전체로 볼때 매출액은 3% 가량 증가해 지난해의 31% 감소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물량기준으로는 지난해 29%감소에소 4% 증가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올해 2.4분기가 전환점이 될 것으로 가트너는 예상했다.
비관적 시나리오를 적용해도 3.4분기에는 지난해 4.4분기수준을 돌파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수요부진현상이 길어져 반도체 공급과잉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2.4분기부터 IT분야에서 수요가 반영되고 3백mm웨이퍼 설비투자는 지연돼 아직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1.4분기에는 수요자들이 헐값에 반도체를 사려고 했지만 수요가 회복돼 가격을 안정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가트너는 아시아태평양의 파운드리(수탁가공생산)생산이 증가하고 있고 설계업체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전병서 대우증권 조사부장은 D램 시장이 지난해처럼 급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정거래가격이 2달러대이하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D램업체들이 재고를 정리하는 단계여서 단기적 충격이 불가피하다는 견해도 있다.
D램 업계 경쟁=D램 가격이 급락하면서 대만업체들의 자금조달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D램가격이 추가하락하는 경우 업계에는 새로운 생존게임이 벌어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반도체뉴스전문업체인 EBN에 따르면 대만의 반도체업체들이 D램 가격약세의 영향으로 계획했던 해외DR(주식예탁증서)발행을 뒤로 미루는등 자금조달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따라 설비투자도 지연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점유율이 낮은 대만업체들의 경우 삼성전자 하이닉스 마이크론등 대형업체들에 비해 현물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파워칩세미컨덕터는 지난주 주가가 하락해 해외에 주식을 매각하면서 11%나 가격을 할인,자금조달목표치를 채우지 못했다.
난야의 경우 유럽에서 DR을 발행할 계획이었지만 이를 한달가량 늦추겠다고 밝혔다.
한편 업계에서는 D램 가격이 2달러이하로 내려갈 경우 하이닉스는 물론 마이크론도 자금사정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최근 D램 가격하락은 마이크론의 물량 쏟아내기로 촉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론은 5월말 결산을 앞두고 재고축소에 몰두하고 있다는 관측이다.
전문가들은 D램업체들이 보유재고를 청산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하이닉스와 삼성전자도 D램을 방출하고 있다면서 PC업체들이 주도권을 장악해 D램 업체들간 암묵적 가격유지 공조체제가 붕괴됐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가장 현금동원력이 뛰어난 삼성전자가 현물과 고정거래가격을 얼마로 유지하느냐가 관건이라고 보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D램업체들은 오는 15일을 전후해 현재 4달러수준인 고정거래가격 조정협상에 들어갈 전망이다.
김성택 기자 idnt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