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위원장 선출문제를 둘러싼 공적자금관리위원들의 '반란'으로 공자위의 '표류'가 길어지고 있다. 21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공자위는 지난 16일과 19일 두 차례 가진 간담회에도 불구하고 위원들의 항의와 이의제기로 산적한 현안들에 대해 결론을 내리지 못한 데다 이번주에도 이를 절충할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 공자위가 결정한 리젠트화재의 계약이전문제를 놓고 일부위원들이 '결정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며 이 문제의 법률적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서고 있고1.4분기가 넘도록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예보채 차환동의마저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어 재경부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공자위 위원들의 불만은 지난 11일 청와대가 박승(朴昇) 전 위원장의 한국은행총재 임명으로 1명이 비게된 대통령추천 공자위원에 이진설(李鎭卨) 전 경제수석을 임명하면서 이 신임위원이 신임 공자위원이 아닌 '공자위원장 내정자'로 언론에 보도되면서부터 비롯됐다. 기존 위원들은 "엄연히 위원간 호선으로 뽑게돼 있는 공자위원장을 정부가 '내정'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민간위원들은 그간 위원회가 정부의 공적자금관련 부담을 덜기 위한 '거수기' 정도로 인식돼온 문제점을 신임 위원장 선출을 계기로 해결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정식회의가 아닌 두 차례의 간담회와 여타 통로를 통한 정부의 '양해'를 모두 물리친 상태다. 정부측은 윤진식(尹鎭植) 재경부 차관이 나서 위원들을 설득했지만 위원들의 불만은 여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민간 공자위원은 "설사 새로 추천된 공자위원이 위원장을 맡게 되더라도 절차가 분명히 잘못됐다"며 "이에 대해 정부가 인식할 수 있도록 분명히 문제제기를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공적자금과 관련한 안팎의 문제가 모두 풀리지 않고 있다"며 "넘어야 할 산은 많은데 아직 등반준비도 안된 격"이라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기자 jski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