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진학을 위해 별 보고 등교해서 별 보고 하교하는 중3병을 되살릴 수는 없다", "돈으로 대학입학을 사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 없다" 이상주(李相周) 부총리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최근 경제부처가 잇따라 제기한 고교 평준화 해제와 기부금 입학제 도입 주장에 대해 15일 "대다수 국민이 반대하는 정책으로,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소신을 단호하게 나타냈다. 이 부총리는 이날 오전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에게 새해 업무보고를 마친 뒤 기자간담회를 갖고 "평준화 의미를 오해할 수 있는데 평준화는 고교간 교육여건차를없애기 위해 노력한다는 뜻이지 우수한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을 똑같은 능력을가진 사람으로 하향 평준화해 길러내겠다는 뜻이 아니지 않느냐"고 경제부처의 논리를 간접적으로 반박하기도 했다. 그는 "평준화에서 부족한 수월성.다양성은 특목고, 특성화고, 자율학교, 자립형사립고 등을 통해 보완하면 되는 것"이라며 "평준화가 해제되면 엄청난 사교육비가학원으로 몰리고 고교진학을 위한 재수생마저 생길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또 "이 문제는 흔들면 흔들수록 더 큰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침묵하고 있는 대다수 국민은 평준화 유지에 찬성한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기부금 입학제에 대해서도 "많은 사립대는 양심적으로 학교를 운영하지만 기부금 입학제를 도입하면 돈으로 대학입학을 사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보장하기어렵다"며 역시 도입 불가 방침을 분명히 했다. 이 부총리는 "명문대는 기부금 입학제 도입을 간절히 원하지만 지방대는 기부금액수를 아무리 낮춰도 지원조차 하지 않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는우려가 많다"고 지방대 총장시절의 경험을 전하기도 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청와대 보고에서도 "경제부처가 교육문제에 간여할 수도 있으니 너무 못마땅하게 생각하지 말고 협의할 일은 협의하되, 아니라고 생각되는 부분은 소신껏 정책을 하라"는 대통령의 주문을 받았다고 전했다. 김 대통령의 이런 발언이 경제부처의 손을 들어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 이 부총리는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경험에 비춰봐도 결코 그런 뜻이 아니며 매우 중립적 입장을 나타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 부총리는 "경제부처와의 갈등 구도로만 보지않았으면 좋겠다"고 주문하기도했으나 전날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기부금 입학제 도입 등의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내놓자 강봉균(康奉均) KDI 원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교육문제는 소관부처인 교육부에 맡겨달라.교육부 업무보고를 하루 앞두고 이런 내용을 왜 내놓느냐"며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교육부는 교육 현안과 관련, 이날 청와대 정책기획수석을 통해 경제부처와의 연석 토론회 개최를 다시 한번 제안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조채희 기자 chaehee@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