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만성적인 의료급여(의료보호) 진료비 체불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부터 다각적인 재정건전화 대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31일 밝혔다. 복지부는 올해 의료급여 진료비 비율이 높은 700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진료비 실사를 병행하고, 특히 이 가운데 분기별로 40곳씩 120곳에대해서는 의료급여에 초점을 맞춘 정밀 기획실사를 실시키로 했다. 복지부는 또 의료급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의 처방내역과 약국 조제내역을상호 대조하는 연계심사를 대폭 강화하고, 장기입원.만성질환.복합상병 등 의료급여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심사기법도 개발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올 하반기부터 의료급여 환자의 장기입원에 대한 적정성을평가, 의학적으로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진료비 삭감과 함께 해당 환자의퇴원을 적극 유도키로 했다. 지난해 발생한 의료급여 진료비는 모두 2조3천559억원에 이르지만 조성된 의료급여 기금은 2조816억원(국고 1조5천853억원.지방비 4천963억원)에 그쳐 2천743억원의 적자가 발생했으며, 올해에도 2천703억원의 적자 발생이 예상된다고 복지부는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한기천기자 cheon@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