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2일 정부.정당.단체 합동회의를 통해 당국간 대화 의지를 밝힘에 따라 향후 대화재개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양형섭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부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우리 민족끼리 북남관계를 풀어 나가는데서 당국과 민간단체들은 중요한 책임이 있다"며 "우리는 당국 사이의 대화와 모든 형태의 민간급 회담 및 접촉을 모색해야 하며 그것을 적극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국간 대화를 직접 제의한 것은 아니지만 남북관계 현안을 풀기 위해 당국간 대화 의사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주적론과 외세공조 등을 거론하기는 했지만 대화의지는 분명히 하고 있다는 점에서 평가할만 하다"며 "북측의 의도를 좀 더 살펴보고 후속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측이 민간급 회담 및 접촉을 거론한 대목은 남측주민들의 ''아리랑 축전'' 참관과 5월부터 8월까지로 설정한 ''우리민족끼리 힘을 합쳐 나가는 운동기간''을 염두에둔 것으로 보인다. 일단 정부는 이번 회의를 통해 북측의 대화의지를 읽은 만큼 앞으로 북측의 의사를 확인하는 작업을 거쳐 후속방침을 결정해 나갈 전망이다. 정부는 내부적으로 24,25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일 3국간 올해 첫 대북정책조정감독 그룹(TCOG)회의에서 답보상태의 남북, 북미, 북일관계 전반을 점검하고 3국간 공동대응 전략을 협의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정부는 금강산 관광사업 지원에 대한 지원의지를 최근 북측에 전달한 만큼 북측에서 긍정적인 답이 전달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과정을 통해 북측의 대화의지가 보다 확실히 파악되면 정부는 대화제의등 후속조치에도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제6차 장관급회담에서 대체적인 합의에 도달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간 접촉 , 금강산 활성화를 위한 당국회담, 남북경협추진위원회 등 비교적 소규모의 회담이 검토대상이다. 남북 경제협력추진위원회의 경우, 북측이 내부행사를 앞두고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식량지원 문제를 논의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북측도 관심을 가질 것으로 관측된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기자 jy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