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예비스쿨] '까다로워진 심사'..매출액.순이익 등 기준 상향조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스닥 등록(상장) 기업수가 7백개사를 돌파했다는 기사가 최근 나왔다.
이런 양적 팽창은 최근 몇년간의 신규 등록수 증가에 기인한다.
지난해만해도 1백66개사가 새로 코스닥에 둥지를 틀었다.
코스닥에 들어가기 위한 최대 관문은 단연 예비심사라고 할 수 있다.
벤처.중소기업들은 최근들어 예비심사 관문을 통과하기가 과거보다 어려워졌다고 말한다.
정말 그런 것일까.
그 해답은 2000년과 2001년 예비심사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2000년 예비심사 결과를 보면 청구기업 3백12개사중 2백3개사가 심사를 통과해 승인율(승인기업/청구기업)은 65% 였다.
2001년 경우엔 청구기업이 3백43사였으며 그 중 2백10개사가 심사를 통과해 현재까지의 승인율은 61%로 나타났다.
2001년 심사청구 기업 중 약 32개사의 심사가 종료되지 않은 것을 감안하면 예비심사 승인율은 2000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단순히 승인율이 비슷하다고 예비심사 수준이 2000년과 동일 수준이라고 볼 수 있을까.
"합격자"의 내면을 들춰보면 그렇지 않다.
2000년 예비심사 통과기업 중 직전연도 매출실적이 가장 적었던 10개사를 살펴보면 매출액은 14억원에서 35억원 사이였다.
반면 2001년 경우에는 직전연도 매출액이 35억원이하로 통과한 기업은 하나도 없었다.
당기순이익을 분석해도 비슷한 결과를 알 수 있다.
2000년 예비심사 통과기업의 직전연도 당기순이익 하위 10개사를 보면 당기순이익은 2억-3억원이었다.
반면 2001년 경우는 당기순이익이 3.6억-5.3억원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를 볼 때 2001년의 예비심사 기준상 매출액 및 당기순이익에 대한 "최소실적요건"은 분명 상향 조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예비심사 승인 기업을 분석해 보면 질적인 변화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바로 업종별로 최소실적 기준이 차등적으로 적용되었다는 사실이다.
지난해중 상대적으로 적은 실적으로 예비심사 승인을 얻은 기업의 업종을 분석해 보면 바이오 와 소프트웨어등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동일 경영실적이라도 업종별 특성을 감안해 심사했다고 볼 수 있다.
도매업 매출액 10억원과 소프트웨어 개발 매출액 10억원은 비중이 다르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시각에서 상품매출 등의 비중이 높은 업종 등은 상대적으로 많은 실적이 요구됐다.
지난해에 예비심사 청구 후 자진 철회한 기업 39개사(11월말기준)중 7사가 SI(시스템통합)업종이었다는 사실도 이런 심사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비심사 청구시 재수,삼수가 어려워지게 된 것도 2000년과 다른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2000년의 경우 예비심사에서 기각 판정을 받은 기업은 같은 해에 두번 또는 세번이라도 재청구가 가능했다.
지난해부터는 기각 판정 후 동일한 해에는 예비심사 재청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보류 판정을 받은 경우에도 상반기에 판정을 받은 경우만 하반기 청구가 가능할 뿐이다.
그만큼 예비심사 청구에 더욱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이런 사실은 직전연도 탈락기업의 재청구 사례에서도 알 수 있다.
2000년 예비심사에서 탈락(기각 또는 보류)하여 등록에 실패한 32개사중 지난해중 재도전으로 성공한 기업은 8개사에 불과했다.
여러 면에서 볼 때 2001년 예비심사는 2000년과 비교해 까다로워졌다고 볼 수 있다.
(02)3775-1012
< 박성호 공인회계사.SIPO이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