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의 대북지원이 확대됨에 따라 북한경제의 대외 의존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25일 `최근 남북관계와 대북정책 추진방향' 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하고 북한은 식량의 20% 이상, 석유의 50% 이상을 대외원조에 의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특히 지난 98년 이후 서방에 400여명의 경제시찰단을 파견하고 외국의 경협사절단 초청을 확대하는 한편 세계은행(IBRD),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경제관련 국제기구의 가입 노력 등을 통해 시장경제 학습과 대서방 경제외교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공급물량 부족으로 북한 당국의 공식적인 배급체계가 제대로 가동되지 않아 식량, 생활필수품 등의 농민시장 의존도가 50%를 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따라 북한 주민 사이에는 집단적 생산보다 개인적 소득이 보장되는 사적경제활동이 선호되면서 수익추구 등 시장 경제적 가치관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북한은 공식적으로는 북한식 사회주의 체제의 고수를 강조하면서 `강성대국'의 슬로건 아래 실리를 추구하는 `혁신', `전환'을 부단히 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이어 "북한은 우선적으로 경제문제 해결을 위한 각종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며 "이러한 시도는 북한 체제의 오랜 경직성과 특수성을 고려해 볼 때 중요한 의미를 지닌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주용성기자 yongs@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