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산업 발전방안 내용] 한국의 현주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의 물류산업은 경제발전과 무역자유화 추이 등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물동량은 26억4천8백만 으로 오는 2020년에는 62억2천만 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물동량도 지난해 5억7천2백만 에서 2020년에는 12억6천6백만 으로 증대가 예상된다.
그러나 교통.물류시설이 부족하고 물류체계도 비효율적이어서 경제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물류비 비중이 12.9%로 미국(9.9%) 일본(9.6%)에 비해 훨씬 높은 상황이다.
이는 교통시설 부족에 따른 혼잡비용증가로 수송비가 많이 들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하주업체가 자가용 화물차 위주로 운송(77%)함으로써 공차운행이 많고 영업용도 영세사업자가 대부분이다.
화물업체당 평균보유 차량은 20대에 불과하고 이중에 90% 이상이 지입제로 운영되고 있다.
또 보관 하역 포장 등의 시설과 운용체계가 낙후돼 재고비 증가 등 원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밖에 물류 정보화.표준화 등 선진화를 위한 인프라가 취약하고 제조업에 비해 세제 금융 입지 등에서도 큰 차별적 대우를 받아오고 있다.
한국물류협회 서병윤 회장은 "운수 창고업 등 물류업은 제조업을 뒷받침하는 산업서비스업이기 때문에 일반 소비성 서비스업체와 달리 제조업과 동일하게 금융 세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특히 중국진출의 관문인 인천공항,인천항 광양항 등을 적극 육성하여 21세기 동북아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후진 기자 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