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일부 시.도 공무원들의 국정감사 저지운동으로 논란을 빚은 것과 관련, 서울시가 내달 국가위임사무와 지방고유사무에 대한 구분 용역을 전문기관에 의뢰하고 내년 3월 대토론회를 개최키로 하는 등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정감사 개선을 위한 작업이 본격화된다. 서울시는 전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고건 서울시장)와 함께 국가위임사무와 지방자치사무에 대한 정밀조사와 사무구분 용역을 내달 전문기관에 의뢰하는 한편 내년 3월께 용역 결과 등과 관련된 대토론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이는 고 시장이 지난 9월 시공무원직장협의회의 국감 실력저지 방침과 관련, 자치단체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 범위를 구분하는 공론화절차를 진행키로 한 데 따른것이다. 시는 이를 위해 이달말 시 간부와 행정 전문가, 시직장협의회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워크숍을 갖고 사무구분기준에 대한 검증과 대토론회 준비 등 계획 전반에 걸쳐 협의할 예정이다. 또 4천여만원을 들여 지난 9월 시에 대한 국회 행자위와 건교위, 환노위 등의국정감사 요구자료와 질의내용 등 4천여건에 대해 국가위임사무와 지방자치사무 구분 용역을 내달 한국정치학회나 행정학회, 지방행정연구원 등 전문기관에 의뢰, 내년 1월까지 결과를 받을 계획이다. 시는 이어 시.도지사협의회와 전국공무원직장협의회, 관련 전문단체 등과 공동으로 내년 3월께 전국 시.도지사 및 의회 의장단과 국회의원 및 정당관계자, 학계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토론회를 갖고 용역결과와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정감사의 필요성, 범위 등에 대한 토론을 벌일 방침이다. 한편 지난 국정감사때 서울 직장협 소속 회원들이 `지방고유사무에 대한 국감폐지'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는 등 일부 시.도 공무원들의 국감거부운동으로 논란이 빚어졌으며, 고 시장은 "공론화 과정을 거쳐 지방고유사무가 분명한 사무는 자료요구 등을 하지 않도록 국회에 협조요청하고 요구에도 응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aupfe@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