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기술(BT)은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환경기술(ET) 문화기술(CT) 등과 함께 향후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신기술 산업 분야로 꼽힌다. 이들 분야의 국내 기업 성장률은 향후 10년간 연평균 7.7%를 기록, 세계시장 성장률(연평균 5.8%)을 크게 앞지를 것으로 정부는 내다보고 있다. 특히 바이오산업은 2010년까지 매년 성장률 11.7%와 수출 증가율 12.1%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시장 점유율도 지난해 1.9%에서 2010년엔 3.3%로 급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내 바이오산업의 기술경쟁력과 생산기술은 모두 선진국의 60%선에 맴돌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바이오산업에 2005년까지 약 3조원을 연구개발(R&D) 비용으로 투입할 계획이다. 올해 전체 R&D 예산의 7.6%(3천3백70억원)를 지원한데 이어 2002년 9.0%(4천5백억원) 2003년 10.3%(5천6백70억원) 2004년 12.3%(7천4백억원) 2005년 14.1%(9천3백억원) 등 R&D 투자비중을 높여갈 방침이다. 세계시장 규모와 선진국 연구동향 =세계 바이오산업 시장은 지난해 5백40억달러에서 2010년엔 1천5백40억달러로 급성장, 현재의 반도체 시장규모와 맞먹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부문별 비중은 바이오 의약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생물공정 15%, 생물화학 7%, 생물환경 6% 등이 뒤를 잇고 있다. 2005년까지 미국이 세계 시장을 주도한 후 2006년부터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이 시장을 나눠 지배할 것으로 전망된다. 선진국들은 인간의 유전자 지도를 해독한 게놈프로젝트(HGP) 결과를 토대로 불치병 치료와 수명 연장 등 응용기술 개발을 통한 산업화에 적극 뛰어들고 있다. 미국은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개발기술의 산업화를 추진중이다. 일본은 게놈 연구에는 뒤졌지만 정부 주도의 국책사업을 통해 기술격차를 줄이려 하고 있다.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은 기술집적지 조성과 유전자조작에 대한 규제완화, 벤처 창업.자금 지원 등을 통해 튼튼한 기초연구 능력을 응용기술로 연결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또 인도 등 일부 개도국도 유전자센터 등을 설립, 자국 특성에 맞는 기술개발과 전문인력 양성에 적극적이다. 정부의 육성정책 =산업자원부는 바이오산업의 인프라를 구축, 연구개발과 사업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우선 기초 기술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DNA(유전자)칩과 단백질칩, 고효율 항암제 전달체 등 41개 분야를 차세대 개발과제로 선정했다. 또 동물세포 배양기술과 식물체를 이용한 단백질 생산기술 등 응용기술 분야를 신규 개발과제로 지원키로 했다. 또 조기에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10대 분야의 핵심기술개발센터를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설립할 계획이다. 이들 분야는 산업용 단백질 소재, 산업미생물, 기능성 소재, 아미노산, 기능성 효소, 단백질 전달시스템, 바이오 플라스틱 등으로 정부와 기업의 50%씩 공동 투자하며 민간 기업이 운영을 맡는다. 내년중 기능성식품 소재개발센터와 동물세포 기능센터 등 두 곳이 문을 연다. 산업자원부는 지방의 바이오 벤처기업이 연구 및 생산시설을 공동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별로 바이오벤처기업 지원센터 8개를 설치키로 했다. 지난해 춘천에 첫번째 센터가 문을 열었으며 2003년엔 대전 전북 경남 전남 등 4개 지역의 센터가 들어선다. 센터 1개당 50억원이 국고에서 지원된다. 또 내년까지 3백97억원(국가 3백51억원)을 들여 인천 송도 테크노파크에 바이오산업기술 실용화센터를 설립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우수 바이오제품 제조.품질관리기준(cGMP)을 만족하는 생산시설을 구축, 미국 EU 등 선진국으로 제품을 수출하기 위한 것이다. 내년중 대전 대덕연구단지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우수 실험실 기준(GLP)에 맞는 바이오 신물질 안전성 평가센터도 개원한다. 산자부는 아울러 내년까지 바이오 분야의 전자상거래시스템과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바이오 지식재산권 관리와 기술거래를 촉진하기 위해 기술이전 전담조직 설치도 추진중이다. 자금난을 겪고 있는 바이오 벤처기업을 위해 전용펀드 규모도 지난해 3백억원에서 지난 5월 4백억원으로 늘린데 이어 연말까지 5백억원으로 확대 조성할 예정이다. 또 펀드 운용의 활성화를 위해 바이오벤처의 코스닥 등록과 인수합병(M&A), 기술료 또는 매출액 일부 제공 등 다양한 투자 회수 방안을 제시키로 했다. 이와 함께 한.일 바이오산업 정부 실무자 및 전문가 회의를 매년 두차례 정례화하는 등 선진국과의 기술협력 및 해외시장 진출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산자부는 콩 옥수수 등 유전자변형생물체(LMO)의 안전성을 평가.심사하기 위해 지난 2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 LMO에 대한 관리체제를 마련키로 했다. 정한영 기자 c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