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개혁에 목소리를 높여 왔던 참여연대가 경제개혁 운동의 방향을 틀고 있다. 주주총회에 참석해 목소리를 높이는 방식 대신 제도개선 법령제.개정 등에 주력하겠다는 것. 간판급 기업을 타깃으로 하는 기존의 운동 방식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고 보고 전략을 수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 기업경영관행의 변화 인정 =김상조 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 소장은 IMF사태 이후 기업들의 경영관행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소액주주 등 주주들의 이익을 보호하는데 어느 정도 노력을 기울인 점은 인정할 만하다는 것. 김 소장은 그 예로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들이 세계의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분기마다 IR(기업설명회)를 개최한 것을 예로 들었다. 참여연대는 또한 증권시장이 발전하면서 투자자 의식수준이 높아지는 등 환경이 변화해 시장에 의한 감시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주총 전 이사진 구성에 대한 참여연대의 입장 변화도 예상된다. 그동안 참여연대는 대기업들이 주주총회 이전에 이사를 내정하는 등 경영진을 구성하고 직원들의 인사를 실시한 것을 비판하면서 주총에서 문제를 제기했었다. 이같은 지적에 따라 일부 그룹들은 주주총회 이후에 경영진 구성과 직원 인사를 실시해 왔다. 그러나 사업연도가 끝나고 2~3개월 뒤에 주총을 거쳐 경영진을 구성할 경우 경영 공백이 심하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김 소장은 이같은 현실을 인정해 절차상의 문제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삼성은 참여연대의 문제제기가 없을 경우 연내에 인사를 실시할 방침이어서 올해 대그룹들의 인사가 전반적으로 앞당겨질 전망이다. ◇ 운동방식의 변화 =장하성 참여연대 경제민주화위원장이 삼성전자의 주주총회에 참석해 윤종용 부회장과 입씨름을 벌이는 모습은 소액주주운동의 상징이었다. 최근 몇년간 똑같은 모습이 되풀이되곤 했다. 참여연대는 이같은 방식이 그동안 소액주주들의 의식을 깨우고 대기업들의 경영을 견제하는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 덕분에 기업들의 관행이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들이 변하고 있는 만큼 더이상 똑같은 패턴을 되풀이할 필요가 없다는게 참여연대의 시각이다. 참여연대가 더이상 5대 그룹을 겨냥한 주주총회 참석운동을 고집하지 않기로 한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러나 참여연대는 심각한 주주이익 침해사례가 발생한 기업의 주주총회에는 계속 참석할 방침이라고 김 소장은 말했다. 참여연대의 이같은 운동방식 수정에도 불구하고 대기업들과의 마찰은 여전할 전망이다. 참여연대가 강화된 형태의 집단소송제 도입과 출자총액제한 유지 등을 주장하고 있어 기업들과의 시각차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김성택 기자 idnt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