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15일 본회의를 열어 한나라당 안택수(安澤秀) 의원 발언파문으로 파행상태인 대정부질문을 속개할 예정이나 파문 수습방안에 대한 여야간 입장차이때문에 정상화 전망은 불투명하다. 그러나 이만섭(李萬燮) 국회의장이 `한나라당 이재오(李在五) 총무의 사과와 속기록 삭제'라는 중재안을 갖고 국회 정상화를 촉구하면서 여야간 협상 성패와 관계없이 15일 본회의 개회 방침을 밝히고 나서고, 국회 파행 장기화에 대한 정치권 안팎의 비판여론도 높아지고 있어 여야간 14일 물밑접촉과 15일 오전 총무접촉 결과가주목된다. 이와 관련, 여권 관계자는 14일 "국회 파행이 장기화할 경우 여당에 부담이 될뿐만 아니라 고이즈미 일본총리의 방한에 맞춰 대일문제에 대해 여야가 합심해 강력히 대응할 필요가 있는 만큼 국회 정상화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한나라당 이재오 총무가 국회 파행에 유감표명을 하면, 총무가 곧원내대표이고, 파행에 유감표명을 하는 주체가 여당이 아니라 야당인 만큼 실질적으로 안 의원 발언에 대한 사과로 볼 수 있다"고 밝혀 야당측 정상화 방안에 대한 수용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앞서 13일 이만섭 의장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안 의원의 발언이지나쳤다"면서 "그러나 여당은 집권당으로서 국정운영의 책임이 있는 만큼 야당 원내총무가 본회의에 나가 사과하고 국회의장이 속기록을 삭제하면 국회를 해야 한다"고 중재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공식적으론 여전히 이재오 총무의 사과발언에 `안택수 의원 발언 파문'이 명시적으로 포함돼야 한다는 공식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데 비해 한나라당은 `국회 파행에 대한 총무의 유감 표명'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특히 이재오 총무는 13일 "민주당의 협상안 수용거부로 본회의 합의 개최가 어려운 만큼 이미 제안한 속기록 수정, 국회의장 주의촉구, 총무 유감표명의 3개 정상화안을 철회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무는 "우리당이 제안한 사항들은 여야 합의로 본회의가 이뤄질 경우 유효한 것이나 이제 협상이 결렬돼 국회의장 직권으로 본회의를 열어야 하는 만큼 원인무효가 됐다"고 덧붙여 여당이 수용하고 본회의에 참석할 경우 협상안이 유효하다는점을 시사했다. choinal@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강원 최이락기자 gija00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