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이 테러 사태로 인한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7개국(G7)은 대규모 자금을 시장에 방출했다. 조기 금리인하도 적극 검토중이다. 내수경기 부양을 위한 추가 재정확대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공조체제가 얼마나 효과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 선진국 공조체제 =미국과 유럽 일본은 12일 하루 규모로는 사상 최대의 자금을 시장에 방출했다. 총 금액은 약 1천2백억달러. 이는 한국의 작년 국민총생산(GNP)의 약 3분의 1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이 6백30억달러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3백82억5천만달러를 시장에 풀었다. 평상시 하루 방출액의 10배다. FRB는 13일에도 이 수준의 긴급자금을 은행권에 공급했다. 자본시장이 정상화될 때까지 긴급자금을 무제한으로 풀겠다는게 FRB의 방침이다. 일본 중앙은행은 1백70억달러를 시장에 투입했다. 선진국 협조체제의 1탄이 자금 방출이라면 2탄은 금리공조 인하다. 그러나 금리 인하는 자금 방출과는 달리 동시에 이뤄지진 않을 전망이다. 현재로서는 미국이 먼저 금리를 내릴 것으로 보인다. 원래대로라면 내달 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내리겠지만 이번 사태로 그 전에 긴급인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3일 월가 이코노미스트들의 말을 인용, 빠르면 다음주 중에라도 FRB가 금리를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인하폭도 0.5~1%포인트의 대폭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어 영국이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최근 에디 조지 영국은행 총재는 최근 경기침체 기미로 추가 금리인하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비상경제 시국으로 시기가 앞당겨져 이달내 조치가 취해질 공산이 있다. ECB도 기본적으로 추가 금리인하에 긍정적인 분위기다. 하지만 가까운 시일 안에 금리를 내릴 것 같지는 않다. 금리를 내린지(지난 8월30일 인하) 얼마 되지 않은 데다 미국 만큼 경제 사정이 급박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는 10월 중순쯤 금리인하 조치가 취해질 전망이다. ◇ 공조효과 및 세계경제 전망 =전문가들은 이같은 선진국들의 공조체제가 단기적인 시장 안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세계 경제를 회복세로 돌리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지적한다. 특히 미국의 경우 테러사태로 소비심리가 극도로 위축된데다 일부 대형 금융업체들의 금융거래 시스템이 마비돼 원활한 경제활동이 어려운 상태다. 이코노미스트들은 현 3분기(7~9월)에 미국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우려한다. 웰스파고은행의 손성원 부행장도 "오는 4분기에 경제가 회복될 것이라던 기대감이 테러로 산산히 부서졌다"면서 FRB가 과연 소비를 부추길 수 있는 여력이 있는지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일본 경제는 테러 영향으로 올해 성장률이 당초 전망치에 비해 최소한 0.1%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다. 내년에는 더 나빠져 기존 예상치보다 0.6%포인트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다이와연구소(DIR)는 진단했다. 또 전세계 경제성장 속도도 1%포인트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경우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내놓은 올해 세계경제 성장예상치(2.7%)보다 크게 낮은 1.7%가 된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소비심리를 안정시키는 것이 세계경제 회복과 침체를 가를 최대 분수령이라고 지적한다. 따라서 미국 정부가 추가 감세,자본이득세 인하, 대폭적인 추가 금리인하 조치를 취해야 '경제테러 정국'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이정훈 기자 lee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