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혼수 大戰] 크고 고급스런 家電제품 선호..'가전 구매경향.신제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9월22일 결혼하는 정상철(30.가명)씨와 정선주(26.가명)씨.18평 아파트를 신혼집으로 마련한 이들 예비 신혼부부는 이달 초 서울 롯데백화점에서 열린 혼수 가전 박람회에서 29인치 삼성 완전평면 TV(75만원)와 5kg급 독일 AGE 드럼 세탁기(1백만원대)를 샀다.
냉장고는 테크노마트에서 5백49리터짜리 LG전자 양문형 냉장고(1백10만원)를,가스레인지는 하이마트에서 동양매직 제품(30만원대)을 구입했다.
용산전자랜드 하이마트 백화점등에 따르면 올해 예비신혼부부들은 TV에서부터 세탁기까지 한 회사 제품을 패키지로 일괄 구입하기보다는 정씨 커플처럼 각 제품을 따로따로 구입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그것도 대형 고가 제품에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것.예컨대 TV는 29인치 이상 대형 완전평면 제품,냉장고는 5백리터 이상 양문형 냉장고가 많이 나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가전업체들도 소비자들의 이런 성향에 맞춰 패키지 상품 뿐만아니라 개별 상품에 대해서도 각종 사은품을 제공하는등 예비신혼부부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 혼수용 가전시장은 대략 1조1천억원 규모.가전제품이 주로 교체수요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라 혼수용 가전시장을 둘러싼 업체간 쟁탈전은 더욱 치열하다.
혼수가전으로 어떤 모델들이 나와있는지 소개한다.
LG전자 관계자는 "모델을 잘 고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전제품은 오픈프라이스제도의 적용을 받아 정가가 따로 없기 때문에 인터넷 사이트에서 가격대를 비교해보고 매장에 나가야 다리품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 TV ]
11월로 예정된 수도권에서의 디지털 본방송 개시에 맞춰 입체음향 스피커와 HD급 고화질을 갖춘 디지털 TV와 DVD플레이어를 패키지 안에 넣은 홈씨어터용 TV가 많이 나와있다.
VTR DVD CATV등 각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가 무엇무엇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디지털방송을 제대로 보고 싶다면 화면 배율이 16대9인 수상기를 고르는게 좋다.
삼성은 21인치 완전평면 TV에 DVD플레이어를 내장,따로 살 때보다 10만원을 절약할 수 있는 70만원대 복합제품(SMD-21G5)을 보급형 제품을 내놨다.
삼성은 이와함께 29(1백20만원대).32.34.36인치짜리 HDTV도 판매중이다.
LG전자는 2백만원대 33인치 플라톤 TV(CN-33Q1D)와 DVD.MP3를 재생할 수 있는 59만9천원짜리 DVD플레이어(DVD 3351)를 홈시어터용 상품으로 추천한다.
대우전자는 홈시어터용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내장된 3백만원대 일체형 HDTV "SUMMUS"와 30만원대 보급형 DVD플레이어를 내놨다.
[ 냉장고 ]
2인 가족용으로는 4백20~5백리터가 적당하다.
다만 맞벌이 부부에게는 5백리터이상 대형제품을 추천하는 회사가 많다.
LG전자의 최근 설문조사에서는 40% 정도가 양문형 냉장고를 원한다고 답했다.
LG전자는 앞뒤 냉각 방식으로 신선도를 높인 80만원대 싱싱냉장고(R-B52DW)나 5백76리터급으로 연간 13만원의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는 1백25만원짜리 디오스 냉장고(R-S58DBG)를 추천한다.
디자인과 색깔에 신경을 쓴 삼성의 인테리어 지펠(SRT685A)은 6백76리터다.
또는 절전 기능이 강화된 은색 디지털 냉장고(FRB-5580NB)를 삼성전자는 권하고 있다.
대우전자도 최근 출시한 양문형냉장고를 팔고 있다.
[ 세탁기 ]
업계에서는 한번 사면 8~10년을 쓰므로 식구가 늘어나는 데 대비하고 이불 빨래까지 염두에 둔다면 8kg 이상은 되야 한다며 역시 대형 제품을 추천하고 있다.
LG전자는 10kg 짜리 인터넷 터보드럼 세탁기(WT-3K100)를 85만원에 팔고 있다.
"인터넷시리즈"중 하나이지만 냉장고나 에어컨과 달리 일반 제품과 가격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다.
삼성전자의 디지털세탁기는 LCD를 채용한 77만8천원(출고가)짜리 제품(SA101)과 LED를 채용한 66만8천원짜리 모델(SB100) 두가지가 나와있다.
또는 10kg급 70~80만원대 디지털 세탁기 파워드럼(SEW-P100A 또는 SEW-P101S)을 추천한다.
이같은 고급형 제품 비중이 작년 30%에서 올해 50%로 늘어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