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 3월 북측의 일방적인 연기로 무산된 제5차 남북장관급 회담을 오는 15일부터 18일까지 서울에서 개최하자고 북측에 6일제의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통해 남북 장관급회담 남측 수석대표 명의로 북측 대표단장 앞으로 보낸 전통문에서 "북측이 6.15 남북공동선언의 정신에 따라 남북 당국간 대화를 조속히 재개하자고 제의한데 대해 환영한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남북장관급 회담이 우리측이 제의한대로 열리게 될 경우 6개월만에 재개되고 그동안 중단됐던 남북당국간의 각종 회담이 열리면서 남북관계가 소강상태에서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전통문에서 "남북장관급회담은 6.15 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중심협의체로서 새로운 남북관계를 열어 나가는데 많은 성과를 거둔 바 있다"며 "남과 북은 앞으로도 화해협력과 평화정착을 더욱 증진시켜 나가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또 "양측은 이를 위해 남북간에 이미 합의한 사안들을 비롯하여 우리 앞에 놓여있는 산적한 과제들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정부 당국자는 ""북측에서 우리측 제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호응해 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제하고 "지난 3월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던 5차 남북장관급회담이 연기된 이래 이행이 미뤄지고 있는 기존 합의사항이나 앞으로 해결해야 할 사안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기 위해서는 6.15선언 이행의 중심협의체인 장관급 회담 개최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장관급회담에서 북한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서울답방 문제가 반드시 논의된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북한은 지난 2일 림동옥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명의의 방송통지문을 통해 "우리(북한)측은 온겨레의 의사를 반영하여 6.15 북남 공동선언의 정신에 부합되게 북남 당국대화의 조속한 재개를 제의한다"고 밝힌데 이어 3일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통해 전통문을 남측에 공식 전달해 왔다. (서울=연합뉴스) 주용성기자 yongs@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