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66% '임금상승률 생산성 추월' .. 산자부, 업종별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생산성 증가를 웃도는 임금 인상으로 기업의 비용경쟁력이 크게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는 지난 92∼99년중 광공업 통계를 기초로 업종별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전체 1백40개 제조업종의 65.7%인 92개 업종에서 임금상승률이 생산성 증가율을 상회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31일 발표했다.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은 1인당 노동비용 증가율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뺀 것으로 플러스면 생산성 증가보다 노동비용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기업의 비용경쟁력이 약화됐다는 의미다.
반대로 마이너스일 경우는 임금 인상을 웃도는 생산성 증가가 이뤄졌음을 나타낸다.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이 높은 업종으로는 코크스 및 관련제품(30.8%), 비철금속 1,2차 제련 및 정련(16.2%), 철도장비(14.8%), 항공기.우주선(13.9%), 원유정제처리업(10.7%) 등이 꼽혔다.
반면 컴퓨터.주변기기(-12.2%), 전자 및 전자부품(-10.6%), 통신기기.방송장비(-11.9%) 등의 업종은 임금인상률보다 생산성 증가율이 높아 비용경쟁력이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산자부는 또 연평균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10%를 웃돈 업종은 컴퓨터 등 53개 업종(37.9%)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특히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30%를 웃돈 업종은 컴퓨터.주변기기(32.6%) 통신기기.방송장비(31.3%) 등 4개 업종에 불과했다.
우태희 산자부 산업혁신과장은 "생산성 증가율이 컴퓨터 통신기기 등 IT(정보기술) 업종과 가죽제품 등 경공업 업종간에 큰 편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생산성 증가와 임금인상을 연계시키는 노사 합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