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승희 한국경제연구원장=최근의 물가상승은 환율급등과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것이다.


공공요금을 물가관리 목표 기준인 근원 인플레이션에서 제거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전 총재=공공요금을 근원 인플레이션에서 제외시키라는 것은 작년과 올해 상황에만 비춰보면 일리가 있다.


하지만 지금도 생활물가지수를 따로 내놔야 할 정도로 지표물가와 체감물가간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인데 공공요금까지 제거하면 그 괴리는 더욱 커져버린다.


한은이 현재 중심 통화지표로 삼고 있는 M3(총유동성) 증가율은 8% 전후로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김중수 경희대 교수=일본은 핵심부처간 정책 조율에 문제가 있어 거시경제 차원에서 적절한 대응책을 별로 내놓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재경부 금감위 한국은행 간에 정책 조정과정에 문제는 없는지,정책의 일관성은 유지하고 있는 것인지 걱정된다.


<>전 총재=공식적으로 금융정책협의회와 경제장관 간담회를 통해 의사결정을 내린다.


정책결정자끼리는 "염화시중" 수준으로 의사전달이 잘 된다.


<>최경환 한국경제신문 전문위원=한은이 작년 경기가 침체기로 접어들었을 때 금리를 인상했고 올해초 계속 경기상황이 안좋았는데도 상당기간 금리를 동결하는 등 늑장대응을 했다는 비판이 있다.


물가관리목표제를 도입함으로써 금융정책의 수단을 제한시켜 놓은 것 같다.


중장기적인 물가목표를 설정해 통화신용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게 필요하다.


<>전 총재=작년 10월 금리를 올린 것은 올해 물가가 크게 오를 것으로 예측했기 때문이다.


금리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시차(3개월후)를 감안할 때 작년 3분기때 금리를 올리는 게 맞았다.


이달 금리를 내린 것은 향후 물가는 내려갈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방실 기자 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