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0일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시정 거부와 관련, 남북한과 중국, 동남아국가 등 국제적 연대를 통한 대일압박을 본격적으로 모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정부는 일본을 불필요하게 자극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연대 방안에 신중한 입장이었으나, 일본의 왜곡시정 거부가 양국간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심각히 훼손했다는 판단에 따라 국제사회를 통한 일본 고립화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정부는 내달 말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세계인종차별철폐회의를 비롯해 오는 9월 유엔총회, 10월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총회 등을 통해 일본의 부당한 교과서 왜곡문제 및 '과거사 미화'를 집중 거론할 방침이다. 정부는 우선 유엔인권고등판무관(UNHCHR)실 주관으로 열리는 세계인종차별철폐회의에 한완상(韓完相) 교육부총리 등 장관급 이상 각료를 보내 과거 식민지시대 일제만행을 고발할 계획이다. 특히 군대위안부 기술삭제, 한일강제병합 정당화, 황국신민화 정책의 미화 등 왜곡실태를 폭로하고, 과거 식민지시대의 피해상을 집중 부각시킬 방침이다. 정부는 또 북한측이 최근 제의해온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와 관련한 남북 학자들간의 학술회의 개최 지원 등 국제연대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과거 식민지 시대의 피해를 국제여론에 알리고, 교과서 왜곡과 연계해 과거사 반성 문제를 집중 거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오는 25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무장관회의 때 한승수(韓昇洙) 외교장관과 다나카 마키코(田中眞紀子) 일본 외상간의 한.일 양자회담 거부 여부에 대한 검토작업에도 나서는 한편 남북, 한중양자회담 등을 통한 대일 연대방안 모색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정부는 이같은 외교적 대응조치와 함께 이미 내부적으로 방침을 정한 대일문화개방 추가일정 연기를 포함한 관계부처별 대응책의 시행시기 검토에 착수했다. 정부는 오는 12일 일본교과서 왜곡대책반과 자문위원단 합동회의를 열고 중.단기 대책을 점검한 뒤 빠르면 이번 주중 일부 대일 4차 문화개방 중단 등 일부 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일본이 역사교과서 왜곡시정을 거부한 만큼 분명히 후회하도록 대응해 나갈 것"이라면서 "정부 대책은 왜곡시정의 효과성과 국민감정 등 두 가지를 복합적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