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5일 한나라당이 단독소집한 제223회 임시국회를 둘러싸고 공방을 계속했다. 여야는 이날 중 총무회담을 열어 향후 국회 운영문제 등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나 언론사 세무조사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 문제를 놓고 입장차이가 커 절충 가능성은 희박하다. 민주당은 야당의 단독소집이 정인봉 의원 등의 보호와 함께 언론사 세무조사 등을 둘러싼 정치공세의 장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인 만큼 불응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반면 한나라당은 추경안 처리와 언론 국정조사 실시 등을 위해 임시국회에 응할 것을 거듭 요구했다. 민주당 이상수 총무는 회담에 앞서 "야당이 무분별한 정치공세를 펼치고 국회를 범법의원 보호처로 악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임시국회 불응의사를 거듭 확인한 뒤 냉각기를 거쳐 8월 중순 이후에나 국회를 열 것을 제안했다. 이 총무는 "한나라당은 본회의에서 통과되지 못한 법안과 추경안을 심의해 주겠다고 주장하면서 그 대신 재경.문광위 연석회의와 검찰조사후 `언론국조' 실시를 보장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현재로선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한나라당 이재오 총무는 "여당에서 언론사 세무조사에 대한국정조사 시기만 확정해준다면 지난달 임시국회에서 처리하지 못한 민생.개혁법안들을 합의해 처리할 수 있다"면서 구체적인 조사일정 확정을 요구했다. 권철현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여당이 임시국회 소집요구를 `정인봉 의원 보호용'이라고 주장하나 실제 정 의원은 이미 재판기일을 요청, 출석키로 통보한바 있다"며 "여당이 민생.개혁입법과 추경안 처리의 시급성을 주장했으나 언론국조요구에 대한 국민적 지지가 커지자 슬그머니 꼬리를 내리고 말았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욱 고형규 기자 k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