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문부과학성은 한국 정부의 교과서 재수정요구와 관련, 위안부, 한국 병합 등을 둘러싼 주요 항목에는 재수정에 응하지 않기로 했다고 도쿄신문이 30일 보도했다. 문부성은 이같은 방침을 이미 `교과용 도서검정 조사심의회' 간부에게도 보고했으며, 다음 달 초순 연립 여당 간사장의 한국, 중국 방문에 앞서 그 결과를 공표하고 한국측에도 통보할 예정이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문부성은 한국이 재수정을 요구한 35개 항목 중 30 항목 이상은 수정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으며 재수정 불요 항목에는 위안부, 한국 병합, 일본의 한국 지배 등이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문부성은 이들 주요 항목 이외의 한두 항목에 대해서는 사실 관계의 일부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 출판사 측에 자주적인 정정을 촉구하거나 도야마 아쓰코(遠山敦子) 문부과학상이 정정을 권고할 예정이다. 문부성은 특히 한국 등의 강력한 반발이 예상되지만 전문가들의 정밀 분석을 거쳐 내려진 결론임을 중시, 그 이상의 재수정은 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문부성의 이같은 방침은 한국의 재수정 요구에 대한 사실상의 `제로' 수정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문부성은 한국 정부 등의 교과서 재수정 요구에 대해 역사 담당 교과서 조사관과 검정 심의회의 역사 담당 위원을 중심으로 정밀 분석 작업을 벌여 왔다. 한편 일본의 초당파 의원들이 최근 결성한 `역사 교과서 문제를 생각하는 초당파 모임'은 29일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일본 관방 장관에게 한국, 중국의 교과서재수정 요구에 대한 일본 정부의 검토 결과를 조속히 공표할 것을 요청했다. 초당파 모임은 문부성의 분석 작업 공표가 늦어질 경우 교과서 채택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후쿠다 장관은 "타당한 지적"이라면서 문부성에 조속히 전달하겠다고 말해 조만간 분석 결과를 공표할 것임을 시사했다. (도쿄=연합뉴스) 김용수특파원 yskim@yna.co.kr